가족 건강을 위한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체크사항

입력 2015-06-03 15:24

유산균이라 하면 탄수화물에 포함된 포도당과 같은 당류를 분해하여 유산(젓산)이나 초산과 같은 유기산을 생성하는 균을 말한다.하지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유산균은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며,인체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미생물을 통칭하는 의미이다.

WHO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의 정의를 살펴보면“충분한양을 섭취했을 때 사람의 건강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살아있는 미생물"이라고 한다.프로바이오틱스유산균 정의에 맞추어 추천 기준을 살펴보자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추천기준1 - 충분한 양

학자들마다 충분한 유산균 섭취의 양에 대한 기준은 차이가 있지만,우리나라 식약처에서 권장섭취량으로 정해놓은 기준은 1억에서 100억까지이다.현대인들의 식습관을 볼 때 유산균의 요구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기본적으로 권장 섭취량 최대치인 100억 cfu이상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을 선택하자.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추천기준2 - 건강에 유익한 작용

유산균의 유익한 점은 장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부분 이외에도추가적인 기능이 계속해서 밝혀지고 있다.유산균의 기능에 대해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는 L.람노서스, L.애시도필러스,B. 락티스와 같은 균주가 많이 포함되는지의 여부도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을 선택하는 기준이 된다.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추천기준3 - 살아있는 미생물

프로바이오틱스유산균은 살아있는 유익한 균을 생장을 멈추게 한 후 동결건조 시켜 제제화 한다.

이러한 유산균 제제는 온도, 산소, 빛에 취약하므로 생산부터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되기 까지 어떻게 3가지 위해요소(온도,산소,빛)를 차단하는지를 체크해보아야 한다.특히 무더워지는 6월이후는 유산균의 냉장관리 여부를 꼭 따져보도록하자.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추천기준4 - 장에 정착하는 능력

추가로 한가지를 더 말하자면 아무리 유산균이 살아있더라도 위산, 담즙산등의 소화효소에 잘 견뎌내어 장에 정착해야만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선택시에 장에 잘 정착하기 위한 기술이 접목되었는지도 체크하도록 하자

조은건강쎌티아이(셀티아이) 유산균은 전 과정 냉장관리를 통한 생균 보호 3대원칙을 준수하여 섭취하는 순간까지 생균의 활성을 유지합니다.쎌티아이(셀티아이) 유산균은 생균 생체막 보호기술을 통해 장벽에 정착 후 인체와의 유익한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한 재활성 능력이 탁월한 원료를 엄선합니다.

조은건강은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이외에도 대표브랜드인 rTG코어오메가3, 임산부용 rTG오메가3DHA 와 같은 주요제품을 생산 유통하는 건강기능 식품 전문기업으로, 전국 주요 약국 또는 조은건강직영몰(www.jounhealth.co.kr)을 통해 제품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