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방미 이후 한 달 사이에 5조원이 넘는 규모의 첨단무기를 미국으로부터 집중적으로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일방위협력지침 개정 이후 집단자위권 활동 영역이 확대되면서 전력을 강화하려는 목적과 함께 향후 중국과의 충돌에 대비하겠다는 차원으로 해석된다. 아울러 방위협력지침 개정에 동의해준 미국에 대한 ‘보은(報恩)’ 차원이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된다.
2일(현지시간) 미국 국방부 산하 국방안보협력국(DSCA)에 따르면 국무부는 전날 일본에 E-2D 개량 호크아이 공중 조기경보통제기 4대를 판매하는 계약을 승인했다. 노스롭 그루먼사가 제작한 이 경보기 4개와 엔진 등의 가격은 총 17억 달러(약 1조9000억원)다.
앞서 국무부는 지난달 5일 30억 달러(약 3조3000억원) 규모의 V-22B 오스프리 수송기 17대의 판매 계약을 승인했다. 같은달 13일에는 1억9900만 달러(약 2200억원) 상당의 UGM-84L 하푼미사일 관련 장비·부품·훈련과 군수지원을 제공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로써 아베 총리가 4월 26일~5월 3일 미국 워싱턴을 다녀간 이후 일본은 총 3건에 48억9000만 달러(약 5조4200억원)어치 미국산 첨단무기를 구매했다.
일본이 사들인 무기들은 자위대의 해군 전력을 대폭 증강시킬 것으로 평가된다. 미 해병 특수전에 쓰이는 오스프리 군용기는 헬기처럼 활주로 없이 수직으로 이착륙하고 기존 헬기와 비교해 2배 더 빠르고 5배 더 멀리 날아갈 수 있다. UGM-84 하푼미사일은 잠수함에서 발사하는 미사일이다. E-2D 공중 조기경보통제기는 해상 목표물 탐지 성능이 뛰어나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
일본, 아베 총리 방미 이후 무기구매 급증
입력 2015-06-03 2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