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확산을 둘러싸고 관련 병원 등에 대한 유언비어가 난무하고 있는 가운데 서울대 의대 교수를 지낸 새정치민주연합 김용익 의원이 메르스 발병 지역과 병원을 공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정부의 메르스 위기대응 단계를 현행 '주의'에서 '경계' 단계로 격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2일 CBS 라디오에 출연해 "우선 (발병)지역을 공개해야 한다"며 "지역공개를 해야 주민들이 조심할 것이고 괴담이 사라질 것이고 그 지역의 의료인들이 주의깊게 그런 환자가 있는 지 진단을 하려고 노력할 것이고 지자체도 총체적으로 메르스를 막기 위한 종합적인 노력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복지부가 숨겨놓고 있으니까 지자체도 공식적으로 움직이기 어렵고, 환자와 의료인들 사이에는 괴담만 돌아다니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병원 공개를 하는 것이 원칙"이라면서 "왜냐하면 공개를 해야 그 병원에 대한 지원도 공식적으로 들어갈 수 있지 않겠나"라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메르스가 아직 병원 내 감염에 머물고 있지만 지역사회 감염으로 넘어갈 위험성이 있는 때 사전에 등급 조정을 하고 거기에 맞는 대책을 세워야지, 지역사회 감염이 일어난 다음에 등급상승을 하고 뒤따라가겠다고 하면 메르스를 막을 수 있겠냐"고도 했다.
김 의원은 "대책을 세우는 사람들은 조금은 나쁜 쪽에 가정을 두고 대응을 해야 한다"며 "초기 발생 단계에서 뒷북을 치더니 지금까지도 뒷북을 치겠다고 얘기하는 것 밖에 뭐가 되겠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초기대응 실패와 관련, "복지부가 지금 쓰는 작전을 비유하면 포위전략을 하는 것인데, 초기에 포위할 수 있을 작은 단위를 놓고 철저한 포위를 해서 진압을 해야 하는데 그걸 다 놓쳐 지금은 관찰해야 될 사람만 1천명에 육박하는 상황이 됐다. 어떻게 포위전략이 성립되겠냐"고 반문했다.
김 의원은 “사우디아라비아 같은 경우는 지역사회 감염이고 인구밀도도 높지 않은 상황에서 전염이 일어났던 것이고, 한국의 경우에는 밀실에다가 환자가 바글바글한 속에 그 환자(최초 환자)가 들어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 환자의 연령분포를 보면 30대가 3명, 40대가 8명, 50대가 4명, 60대가 3명, 70대가 6명"이라며 "젊은층부터 노인층까지 다 분포가 돼 있는 만큼 면역력이 취약한 사람만 걸리는게 아니라 보통 평범한 사람도 걸린다"고 우려한 뒤 시설격리 대상자를 고령자, 만성질환자 위주로 국한하겠다는 정부 발표를 강하게 비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메르스 발병 지역. 병원 공개하라” 서울 의대 교수 출신 야당 의원 촉구
입력 2015-06-03 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