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어문화축제준비위원회가 오는 9일 서울광장을 사용하기 위해 서울시에 제출한 ‘서울광장 사용신고서’의 내용이 대부분 사실과 다르거나 과장된 것으로 밝혀졌다. 서울시는 이를 제대로 검증하지 않고 ‘서울광장의 사용 및 관리에 관한 조례’를 위반하면서까지 동성애자들에게 서울광장을 열어줬다.
국민일보가 2일 입수한 10페이지 분량의 사용신고서에 따르면 퀴어문화축제준비위는 “서울문화재단으로부터 축제의 원형을 잘 살리고 있는 행사라는 평가를 받았다”고 스스로를 소개했다. 그러나 본보 취재결과 이 같은 주장은 사실과 다른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문화재단 관계자는 “퀴어문화축제준비위가 지난해와 올해 ‘예술지원 사업’에 신청서를 제출했으나 전체적으로 축제에 대한 평가가 좋지 않은 데다 ‘동성애를 조명하는 것이 예술축제인지 의문’이라는 평가가 나왔다”면서 “‘퀴어문화축제는 문화적 담론이고 사회운동이지만 예술축제는 아니다’라는 의견 때문에 좋은 점수를 받지 못해 결국 사업으로 채택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퀴어문화축제준비위는 신청서에서 ‘지난 15년간 축제를 진행하면서 안전사고가 한번도 나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 이것도 사실이 아니다. 지난해 퀴어문화축제에서 반대 시위자 한 명이 퀴어축제 측의 퍼레이드 차량 앞에서 쓰러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윤모(64·여)씨는 “당시 한 남성 시위자가 퀴어축제 측의 퍼레이드 차량을 막다가 동성애자들과 충돌하면서 이런 사고가 생겼다”면서 “119구급대원이 출동해 남성 시위자를 구조하는 등 큰 소란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들은 신청서에 서울광장 사용목적을 ‘문화행사’로 기재했다. 사용인원은 500명, 행사 목적은 ‘평등한 사랑과 보편적 인권의 가치가 실현되는 세상을 향한 염원을 담은 전시회 및 공연’ ‘시민들과 함께하는 문화행사’로 적시했다.
그러나 지난해 퀴어문화축제의 내용을 봤을 때 ‘평등과 인권을 주제로 작품을 전시한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지난해 축제 때 일부 동성애자는 엉덩이가 훤히 보이는 팬티만 입고 전시회 부스를 활보했다. 남성 나체사진 엽서, 여성 성기 모양의 거울, 항문성교 스탬프 등 퇴폐적 소품이 전시됐다. ‘시민들과 함께한다’는 주장과 달리 일부 동성애자는 축제를 반대하는 시민들에게 고성을 지르는 등 마찰을 빚었다.
하지만 서울시는 사용신고서 자체에는 하자가 없기 때문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신고서에는 그런 내용(동성애자들의 퇴폐적 행위)이 하나도 없다”면서 “서울광장은 여가선용을 위한 문화활동의 공간이지만 사용신고가 들어왔을 경우 모두 수리해야 한다. 서울시에는 사용신고를 거부할 권한이 없다”며 책임을 회피했다.
이는 광장조성목적에 위배되거나 시민의 신체·생명 등에 침해를 가할 우려가 있는 경우 ‘서울시 열린 광장 운영 시민위원회’의 의견을 들어 사용신고를 수리하지 않을 수 있다는 서울광장 사용·관리에 관한 조례 6조를 무시한 것이다.
동성애자들은 현재 “서울의 심장이라 할 수 있는 서울광장이 열렸다”면서 “공정한 서울광장 운영을 요구하는 동성애자들의 목소리에 서울시가 광장의 빗장을 풀었다”며 자축하고 있다.
바른성문화를위한국민연합 최선은 사무국장은 “퀴어문화축제는 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한 동성애자들의 문화전략 중 하나”라면서 “차별금지법이 국회에서 통과되면 동성결혼도 합법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 온라인편집=최영경 기자 ykchoi@kmib.co.kr
[긴급진단-퀴어문화축제 실체를 파헤친다 ④] ‘서울광장 사용신고서’ 대부분 사실과 달라
입력 2015-06-02 1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