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확산 비상] 中·日·홍콩 등 주변국 “한국 관리감독 중대한 실수” 성토 분위기

입력 2015-06-02 22:39

국내에서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으로 인한 사망자가 나오고 국내외를 통틀어 격리대상자들이 늘어나면서 홍콩과 중국, 일본 등 주변국들도 방역 수준을 끌어올리는 등 바짝 긴장하고 있다. 한국 정부의 부실한 메르스 대응을 성토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2일 중국 신경보에 따르면 중국 국가질량감독검사검역총국(질검총국) 등 관련기관들은 메르스 대응과 관련한 공동문서를 하부기관에 발송했으며, 서우두 국제공항 여객검역소는 공항통로 등에서 체온측정, 서류작성 등의 방식으로 입국자 가운데 메르스 의심 환자를 가려내는 등 방역에 나서고 있다.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한국인 남성 H(44)씨와 밀접 접촉했을 것으로 의심돼 중국과 홍콩에서 격리된 사람은 한국인 11명을 포함해 86명으로 늘었다. 홍콩 언론은 한국 보건당국이 메르스 환자가 치료받은 병원 목록을 제공하지 않는데 따라 홍콩 당국이 서울을 다녀온 여행객을 특별 감시하는 등 방역 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전날 홍콩에서는 홍콩 당국에 의해 격리대상자로 선정됐으나 한국으로 출국한 한국인 남성이 아무런 제지 없이 홍콩에 재입국해 격리되기도 했다.

고조되는 불안에 일본 정부도 공항 검역소 등에서 한국에 머물다 입국한 이들에게 발열 등의 증상이 있으면 상담을 하도록 요구할지 검토 중이라고 아사히신문이 전했다. 일본에서는 현재 중동에 체류하다 귀국한 사람에게 이 같은 조처를 취하고 있으며, 메르스 감염 의심 환자가 발생하면 의사가 당국에 의무적으로 신고하고 환자는 지정 의료기관에서 치료를 받게 돼 있다.

한편 이번 사건과 관련해 중국 봉황망이 실시한 네티즌 대상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93.37%(11만7438명)가 “자신의 질병 상태를 숨기고 중국에 입국한 것은 매우 무책임한 태도”라고 답했다. 또 82.81%(10만4158명)의 응답자가 “한국의 관리 감독에 중대한 실수가 있었다. 이번 사건에 대해 마땅한 해명을 해야 할 것”이라고 비판했으며, 79.11%가 ‘이번 사건이 한국에 대한 생각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본다’고 답해 정부의 부실한 대응에 따른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이종선 기자,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