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120만명 죽어야 비상사태인가” 시민들 비난 쇄도

입력 2015-06-02 14:43 수정 2015-06-02 20:24
수도권 한 병원의 응급의료센터.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감염 환자 가운데 2명이 사망하고, 3차 접촉 환자가 처음으로 2명이 발생하는 등 국민들의 불안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정부의 대응이 미온적이라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2일 3차 감염자가 발생한 것은 사태가 '지역사회 전파' 직전단계까지 이르렀음을 뜻한다. 3차 감염이 발생한 병원 등에서 추가 역학 조사가 진행되고 있어 3차 감염자는 더 늘 수 있다. 정부는 추가 환자에 대한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있어 격리 대상자는 수천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런데도 정부는일이 터진뒤에야 뒤늦게 대책을 내놓는 모습을 되풀이하고 있다. 특히 상태가 심각했던 메르스 환자를 사망 전날에야 파악한데 대해 비난이 빗발치고 있다. 정부의 상황인식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이다.

이데일리 보도에 따르면 국민안전처는 국가재난 단계상 메르스 감염 수준이 심각한 수준이 아니라고 판단, 국가 재난단계를 현 단계인 ‘주의’ 상태로 유지하고 현 상황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를 가동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안전처 담당자는 “지금은 범국가적으로 대응하고 있지만 심각한 단계는 아니다”며 “신종플루 같은 경우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300만명 정도 감염됐을 때 중대본을 가동했다. 지금은 중대본을 가동할 단계가 아니다”고 말했다고 이데일리는 보도했다.

이를 두고 인터넷과 SNS에선 ‘신종플루와 치사율 자체가 다르다’ ‘치사율이 40%라는데 120만명 죽고 나서야 심각하다는 건가’ ‘정신 나간 정부’ 등의 비판이 쏟아졌다.

국가 재난단계는 관심(Blue), 주의(Yellow), 경계(Orange), 심각(Red)으로 구분된다. 중대본이 구성되면 안전처 장관이 본부장을 맡고 전염병 관련 예방, 대응, 업무조정 등 통합 관리를 하게 된다. 또 전국 16개 시·도와 230개 시·군·구에서도 단체장을 본부장으로 한 별도 대책본부가 가동돼 대책 마련에 나서게 된다.

한편 정부는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장을 복지부 차관에서 복지부 장관으로 격상했지만 전염병 위기경보 수준은 기존대로 '주의' 단계를 유지하기로 했다.

이날 국내 메르스 환자는 3차 접촉 환자 2명, 2차 접촉 환자 4명이 발생해 총 25명으로 늘었다. 사망자를 제외하면 23명이다.

[관련기사 보기]















김태희 선임기자 t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