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1일 포츠담 선언에 대해 “연합국 측의 정치적 의도를 표명한 문서”라고 평가하며 “(당시의) 일본 정부는 선언을 수락하고 항복했다”고 말했다. 지난달 20일 국회에서 태평양전쟁을 일으킨 일본 위정자들의 책임을 시사한 포츠담 선언에 대한 언급을 회피해 또 다시 역사인식 논란을 일으켰던 것을 수습하기 위한 차원으로 해석된다.
마이니치신문 등에 따르면 아베 총리는 이날 안보법제 정비안을 심의하는 중의원 특별위원회에 출석한 자리에서 이같이 밝힌 뒤 “지난 대전의 결과로 일본은 패전을 맞이해 많은 사람이 귀중한 인명을 잃었고 아시아의 사람들에게도 많은 피해를 끼친 것을 엄숙하게 받아들인다”며 “이런 결과를 낳은 일본인의 정치 지도자에게는 많은 책임이 있다”고 덧붙였다.
포츠담 선언은 1945년 7월26일 제2차대전 승전국인 미국, 영국, 중국의 수뇌부들이 독일 포츠담에 모여 일본에 대한 처리 문제를 협의한 뒤 발표한 문서로, 일본의 무조건적인 항복 및 군국주의 배제 등을 요구하는 내용을 담았다.
선언에는 ‘일본의 군국주의자들이 세계 정복을 위해 일본 국민을 잘못 이끌어 전쟁을 일으켰다’는 인식과 종전 후 전쟁 범죄를 처벌하겠다는 방침이 함께 실려 있다. 일본이 히로시마, 나가사키 피폭 후 포츠담 선언의 항복조건을 받아들임으로써 태평양전쟁은 끝났다.
아베 총리가 포츠담 선언을 인정하고 당시 일본의 정치 지도자에게 책임이 있다는 사실을 인정한 것은 역사인식 문제를 둘러싼 야당과 언론의 계속되는 비판에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아베 총리는 지난달 20일 당수토론 때 “포츠담 선언은 태평양 전쟁이 세계 정복을 위한 것이었다는 점을 명확히 밝히고 있는데 이 선언에 담긴 인식을 인정하느냐”는 시이 가즈오(志位和夫) 공산당 위원장의 질문에 “해당 부분을 자세히 읽지 않았으므로 직접 논평하는 것은 삼가겠다”며 답변을 피해 역사인식 논란을 재차 일으켰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아베 “포츠담 선언, 연합군의 정치적 의도 표명 문서” 논란 끝에 입장 밝혀
입력 2015-06-01 2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