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걸 새정치 원내대표, 한일, 과거사는 제3자에 맡기고 양국 정상은 미래 논의

입력 2015-05-30 21:18 수정 2015-05-30 21:19

이종걸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는 30일 한·일 양국 정상에게 “과거사 문제는 제3자, 좀 더 객관적 기관에 책임을 맡기고 미래를 논의하는 지혜를 발휘해달라”고 말했다.

이 원내대표는 이날 라마다프라자 제주호텔에서 열린 제주 세계 평화의 섬 지정 10주년 기념 ‘동아시아 평화와 한일 관계 좌담회’에 토론자로 나와 이같이 밝혔다.

그는 “대한민국 역사에서 잊지 못할 위안부 문제, 징병, 징용, 원자폭탄, 관동대지진 피해 문제에 대해서도 국정 책임자인 아베 총리나 우리나라 대통령은 발언하지 말고 한 발자국도 못 나가고 있는 한·일 미래의 문제에 대해서 더 적극적으로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북한문제에 대해서도 양국간 협력할 것을 촉구했다. 이 원대대표는 “북한 김정은의 반인권적인 숙청과 최근 해상에서 이동하는 발사체 개발 등으로 남북문제가 미래를 점칠 수 없는 상태까지 가고 있다”며 “그 점에 대해 한국과 일본, 미국이 좀 더 적극적으로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병국 새누리당 의원은 “역사 문제가 극단으로 치닫는 이유는 양국 정치인들이 이 문제를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정치적 입장에서, 외교적 관계에서 본다면 이제 양국 정상이 시급히 회담을 통해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고노 타로(河野太郞) 일본 자민당 중의원은 “아베 총리의 공식적인 입장은 ‘무라야마 담화’와 ‘고노 담화’에 이르기까지의 역대 정권이 표명했던 것을 답습한다는 것”이라며 한 사람의 국회의원으로서의 발언과 공적인 직책에 재임하면서 한 발언은 구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곤도 쇼이치(根藤昭一) 일본 민주당 중의원은 “양국 사람들, 특히 젊은이들끼리 접할 기회를 늘려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올해 한일 국교 정상화 50주년이라는 시기에 정치인들이 할 역할은 구체적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