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테러 위협 등을 전담하는 대외 정보기관 신설에 본격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올해 초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에 일본인 2명이 납치·살해된 것이 직접적인 계기가 됐지만,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이 추진하는 ‘군사대국화’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관측이다.
29일 마이니치신문 등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외무성에 테러 관련 정보를 상시 수집·분석하는 팀을 만들고 여기에 경찰청과 방위성 직원을 파견해 함께 일하게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날 오전 도쿄 총리관저에서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 주재로 열린 ‘국제조직범죄·국제테러대책추진본부’ 회의에서도 관련 내용이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스가 장관은 “내년에는 중요한 정상회의, 2020년에는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있다. 테러 대책은 중요한 과제”라며 이러한 움직임에 힘을 보탰다.
일본은 현재 미국 중앙정보국(CIA)과 같은 정보기관 없이 내각정보조사실, 외무성, 경찰청, 방위성 등 관계기관들이 각각 따로 대외 정보를 수집·분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정보 집약 기능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런 기능을 하나의 조직으로 집약해 정부가 긴급 상황에서 제대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구상이다.
일본 정부는 연내에 테러 정보 전담팀을 발족하고 내년 이후에 인원을 늘려 조직을 확대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테러 정보 수집의 거점 재외 공관에 전문 인력을 배치하고 아랍어나 현지 사정에 정통한 인력을 양성하는 등 정보수집 능력 강화를 함께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신문은 최근 국회에 제출된 안보 관련 법안으로 자위대의 해외파견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강화된 정보능력을 자위대를 국외 파견 여부를 결정할 때도 활용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日 외무성에 대외정보 수집 전담부서 신설 검토…일본판 CIA 나오나
입력 2015-05-29 1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