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동해’ 표기의 확대를 추진하는 한국 정부를 견제하는 동영상을 최근 7개 외국어로 추가 제작해 배포한 것으로 29일 확인됐다.
일본 외무성은 지난 14일 ‘일본해가 국제적으로 확립된 명칭’이라는 주장을 담은 동영상을 아랍어, 중국어,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등 7개 언어로 추가 제작해 유튜브에 올렸다.
이 영상은 지난해 한국어, 일본어, 영어로 배포된 것과 같은 내용이다. 이에 따라 일본해 주장을 담은 동영상은 10개 언어 버전으로 늘어났다. 여기에는 “한국이 ‘일본해라는 명칭이 보편적으로 사용된 것은 일본의 식민지 지배 때문이며 동해 또는 동해와 일본해를 병행 사용해야 한다’고 하고 있으나 일본해가 오래전부터 널리 사용된 만큼 한국의 제안이 수용되기 어렵다”는 일본 정부의 주장이 담겼다.
그동안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은 영토에 관한 일본의 입장을 국제사회에 효과적으로 알려야 한다는 강조해왔으며, 일본해 주장을 담은 영상을 다국어로 확대 제작한 것은 이 같은 방침의 연장선상에서 이뤄진 것으로 풀이된다. 또 이런 영상 배포 확대는 동해 표기 확산을 위한 한국의 노력이 미국 등 국제사회에서 호응을 얻는 것에 대한 견제 차원으로도 해석된다.
전날 집권 자민당은 역사나 영토 등에 관한 주장을 국제사회에 더 적극적으로 펼쳐야 한다고 일본 정부에 촉구했다. 자민당 외교재생전략회의가 정리한 ‘일본의 외교력 강화를 위한 제언’에는 역사 인식, 영토 문제, 안보 정책 등에 대해 국제사회에 적극적으로 메시지를 보내는 방안이 담겼으며, 외무성 직원을 늘리고 재외 공관을 신설하는 방안까지 포함됐다고 교도통신이 전했다.
특히 자민당 외교부회는 이날 하시마(일명 ‘군함도’) 탄광 등 태평양 전쟁 당시 조선인 강제 징용의 현장이 포함된 메이지 시대 산업시설 23건의 세계유산의 등록 문제에 대해 일본 정부의 대응 강화를 촉구하는 결의도 채택했다. 이에 따라 역사 인식이나 영토 문제 등에 대해 국제사회의 비판과 우려를 외면하는 아베 정권의 ‘나홀로 행보’가 계속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日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 주장 담은 동영상 10개 국어로 확대
입력 2015-05-29 16: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