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실은 미국의 신문물을 시찰하고 온 보빙사 건의에 따라 1884년 에디슨 전기회사와 전등 설비를 위한 계약을 한다. 이어 1886년 11월 미국인 전등기사 매케이를 초빙해 1887년 1월 우리나라 최초의 전기발전소인 전기등소(電氣燈所)를 경복궁 안에 완공했다. 최초 점등일은 1887년 1~3월 무렵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 전기 발상지인 전기등소가 있던 자리가 확인됐다.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강순형)는 경복궁 흥복전 권역 중 영훈당이 있던 곳을 지난해부터 발굴조사한 결과 전기등소 터를 확인했다고 27일 밝혔다. 전기등소 위치는 그동안 향원지의 북쪽과 건청궁 남쪽 사이로 알려졌으나 이번 조사에서 향원지 남쪽과 영훈당의 북쪽 사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곳에서는 발전 원료인 석탄을 보관하던 탄고와 발전소 터 등 전기등소 유구가 확인됐다. 아울러 아크등(arc lamp)에 사용되었던 탄소봉, 연대(1870년)가 새겨진 유리 절연체 등 전기 관련 유물도 출토됐다.
고종 연간에 건립된 영훈당은 흥복전과 향원지 사이에 위치해 내각 회의와 경연, 외국 공사 접견 등 왕의 편전으로 사용되다가 1917년 화재로 소실된 창덕궁을 중건하기 위해 경복궁 내 다른 전각과 함께 헐려나갔다.
전기등소의 발전 규모는 16촉광(1촉광은 양초 1개 밝기)의 백열등 750개를 점등할 수 있는 수준이었고 건청궁 내 장안당과 곤녕합의 대청과 앞뜰, 향원정 주변 등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향원지에서 물을 끌어올려 전기를 생산해 ‘물불'이라고 했으며 불안정한 발전 시스템으로 건달꾼처럼 제멋대로 켜졌다 꺼졌다 한다 해서 ‘건달불’이라고도 했다.
연구소는 전기등소의 정확한 위치를 밝혀내고 백열전구가 아닌 아크등을 사용한 흔적을 확인함으로써 앞으로 우리나라 전기 발전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확보했다고 덧붙였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
우리나라 최초의 전기발전소 ‘전기등소’ 자리 확인돼
입력 2015-05-27 1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