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유엔 PKO활동 때 탄약 상호지원 방안 논의”

입력 2015-05-27 16:30

한국과 일본이 국외에서 이뤄지는 유엔평화유지활동(PKO) 때 탄약을 상호 지원하는 방안을 공식적으로 협의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한 소식통은 27일 “이달 말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한일 국방장관회담 때 우리 군과 일본 자위대 간의 탄약 상호 지원 방안이 논의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다른 소식통은 “이는 양국이 상호군수지원협정을 맺는 방안을 협의하는 것이 아니라 유사시 PKO 활동 지역의 유엔사령부를 거쳐서 탄약을 상호 지원하는 방안”이라고 말했다. 국외에서 이뤄지는 PKO 활동에 참가한 우리 군과 일본 자위대가 유사시 각각 탄약이 필요하면 해당 지역의 유엔사령부를 통해서 상호 지원하는 방안을 협의한다는 것이다.

이에 소식통은 “일본 측은 우리나라와 상호군수지원협정을 맺길 강력히 희망하고 있지만 우리는 아직 그럴 계획이 없다”면서 “다만, PKO 활동 중에 긴급 상황이 발생해 탄약이 필요할 때는 직접 지원은 안 되고, 해당 지역 유엔사령부를 거쳐서 상호 지원하는 방안은 협의할 수 있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우리 군과 일본 자위대가 PKO 활동 때라도 탄약을 상호 지원하는 것에 대해서는 여론이 그리 호의적이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실례로 지난 2013년 남수단에 파병된 한빛부대가 일본 자위대로부터 실탄을 지원받았다가 국내에서 한바탕 논란이 되기도 했다.

당시 한빛부대는 예비탄약 확보를 위해 남수단의 유엔사령부격인 유엔 남수단임무단(UNMISS) 본부에 탄약지원을 요청, 일본의 육상자위대로부터 5.56㎜ 소총 실탄 1만 발을 지원받았다. 한국군이 일본 자위대로부터 탄약을 지원받은 사례는 이 때가 창군 이래 처음이었다. 이를 두고 국내에서 논란이 일자 군 당국은 국외 파병부대의 실탄 보유량을 늘리도록 규정을 개정한 바 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