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입을 꽉 다물었다” 당직 자격정지 1년 무반응...또하나의 내분 불씨될듯

입력 2015-05-26 20:11

정청래 최고위원은 26일 징계 결정 뒤 공식 입장 표명을 하지 않은 채 향후 대응책 등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결정을 두고 계파간 반응도 엇갈려 여전히 내분의 '불씨'로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보인다.

탄원서 제출에 참여했던 범주류 설훈 의원은 "좀 지나치다"며 "과도한 발언을 한 건 사실이지만 당에 반기를 든 것도 아닌데 그렇게 심하게 징계를 하면 어떻게 하나"고 비판했다.

오영식 최고위원도 기자들과 만나 "이미 최고위 출석정지라는 정치적 조치가 취해지지 않았나"며 "기간이 너무 과하지 않나"라고 지적했다.

이날 오후 문재인 대표 등 지도부가 참석한 고위전략회의에서도 당직정지기간이 예상보다 길게 결정됐다는 지적들이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비노계의 한 재선의원은 "당 안팎에 초래한 혼란과 피해에 비하면 가볍다고 본다. 윤리심판원이 친노계의 반발을 고려해 고육지책을 선택한 것 같다"며 "이런 하나마나한 징계가 결국 총선 국면에서 당에 부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다른 비노계 3선의원은 "최고위원 자격이 정지되더라도 내년 총선(공천) 자격에는 직접적 문제가 안 된다"며 "신의 한 수"라고 평가했다.

한편 윤리심판원은 조경태 의원이 문 대표에 대한 과한 공격 등으로 당의 단합을 저해했다는 징계 청원에 대해서는 추가 사실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주 최고위원이 최고위원직 복귀를 거부하면서 지속적으로 당내 분열을 일으키고 있다는 징계 청원과 문 대표가 4·29 재보선에 대해 책임을 지고 징계를 받아야 한다는 청원은 기각됐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