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의 대학 구하기… 학령인구 감소 ‘학생난’ 대비

입력 2015-05-26 17:50 수정 2015-05-26 18:51

교육부가 학령인구 감소로 위기에 놓인 대학들을 위해 ‘직장인 대학생’을 충원하도록 활로를 열어주기로 했다. 기존 평생교육기관에서 공부하던 성인 학습자들을 대학으로 끌어들여 학생 감소로 인한 대학의 충격을 줄여보겠다는 구상이다. 사이버대학, 학점은행 기관 등 기존 평생교육기관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교육부는 26일 ‘성인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 개편방안’을 국무회의에 보고했다. 신설되는 평생교육 단과대학은 대학에서 성인들의 학습 수요를 전담하는 단과대학을 말한다. 기존의 대학 내 평생교육원을 일반 단과대학과 동등하게 정규 학사 시스템으로 개편하는 것이다. 고교를 갓 졸업한 학생이나 재수생 등이 진학하는 현재 대학 시스템과 달리 20대 중반 이상의 성인으로만 채워진다.

교육부는 내년에 수도권과 지방 대도시 등 평생교육 수요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시범 대학 10개를 선정해 운영할 계획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2017학년도부터 평생교육 단과대학의 신입생을 선발할 계획”이라며 “전형 방식, 성인 학습자 연령 제한 등은 대학들과 협의 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대신 직장경력 등을 입학 전형에 반영하고, 만 25세 미만은 지원하지 못하게 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평생교육 단과대학은 유학생 유치와 함께 대학 구조조정의 충격을 완화하는 방안으로 추진됐다. 한 해 평생학습기관 등에서 공부하는 성인 학습자는 14만명 규모다. 이 가운데 학점은행제 등으로 학위를 취득하려는 인원은 8만명 정도다. 이들을 정규 대학과정에서 공부하게 한다는 것이다. 학령인구 감소로 2018년부터 대학 정원이 고교 졸업생 수보다 많아지고, 2023년에는 그 격차가 16만명까지 벌어진다.

사이버대나 학점은행 기관 등 평생교육기관들은 ‘된서리’를 맞게 됐다. 평생교육 단과대학은 대학의 정규 학사 시스템 속으로 들어간다. 정규 대학들과의 경쟁이 불가피해진 것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사이버대 등의 충격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공부하려는 성인이 매년 늘어나므로 경쟁력을 확보한다면 학생 유치에는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