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역사학연구회 “전후 일본을 평화국가로 부르는 건 부적절”

입력 2015-05-26 21:33

일본의 대표적 역사단체인 역사학연구회가 2차 대전 종전 후의 일본을 평화국가로 규정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면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추진하는 ‘전쟁으로의 길’에 우려를 표명했다.

역사학연구회는 지난 23일 총회 때 채택한 ‘전후 70년을 맞아 전쟁으로의 길에 반대하고 평화의 결의를 새롭게 하는 결의’에서 “대외 침략에 직접 상관하는 사태는 회피해 왔다고 할 수 있을지라도 오키나와를 중심으로 많은 미군 기지가 설치돼 한국전쟁, 베트남 전쟁, 이라크 전쟁 등에서 미군의 출격 거점이었던 나라를 ‘평화국가’로 부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밝힌 것으로 26일 전해졌다.

또 아베 총리가 국외 분쟁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뒀던 전후 일본의 정책을 “소극적”이라고 잘라버리고 있으며 집단자위권 행사 용인과 자위대 국외 파병을 가능하게 하는 법 개정을 추진해 새로운 ‘전쟁으로의 길’을 열려한다고 우려를 표시했다.

이 단체는 아베 정권의 이런 정책에 강하게 반대한다며 “침략전쟁과 식민지배에 대한 진지한 반성에 기반을 둔 역사학의 논의를 환기하고 이웃 여러 국가와의 신뢰 관계를 양성하며 상호 이해와 대화에 의한 평화 실현을 목표로 할 것을 결의한다”고 밝혔다.

한편 일본 영화 ‘철도원’의 원작자인 소설가 아사다 지로는 전날 일본 자민당 온건그룹 소장파 의원들 모임에서 강연을 통해 아베 총리가 올 여름에 발표할 전후 70년 담화(아베 담화)에 ‘침략’이라는 말을 확실히 사용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일본 언론들이 보도했다.

아사다는 “중국이 기다리는 것이 이 단어(침략)하나 뿐이라고 생각한다”며 “이것으로 서로 어른스러운 면모를 보여주게 된다”고 덧붙였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