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성인전담 단과대 신설

입력 2015-05-26 15:51
2017년부터 대학에 평생교육 단과대학이 생긴다. 평생교육 단과대학에서는 직장인 등 사회인을 위한 학과과정이 개설된다. 우리나라 대학들이 성인을 위한 평생교육기관으로 체제 개편에 본격적으로 나서는 것이다.

교육부는 26일 ‘성인전담 평생교육 단과대학 개편방안’을 국무회의에 보고하고 2017학년도부터 평생교육 단과대학의 신입생을 선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평생교육 단과대학은 대학들이 기존의 학사조직과 평생교육원 시스템을 전면 개편해 성인들의 수요를 전담하는 단과대학을 가리킨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대학이 입학 정원을 감축해야 하는 상황에서 기존 교수와 시설 등을 활용하고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평생교육 단과대학이 마련되는 것이다.

평생교육 단과대학은 고등학교를 막 졸업한 학생이나 재수생 등 학령기 학생이 대부분 진학하는 현재 대학과 달리 20대 중반 이상의 성인으로만 채워진다.

어린 학생들과 함께 대학을 다니던 직장인, 주부 등이 좀 더 편하게 공부하고 대학 입장에서도 효과적으로 교육하는 장점이 있다. 또 학점은행제 교육기관인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이 대학의 정규조직에 편입됨으로써 교육의 질 관리가 기대된다.

평생교육 단과대는 현행 평생교육원, 대학의 ‘선취업 후진학자’ 제도 등과 교육과정, 입학전형, 학사운영, 교·강사 등에서 다르다. 학위과정뿐 아니라 다양한 학점과정과 평가인정·자격과정 등을 운영하고 입학전형에서도 경력, 면접, 학업계획서 등의 요소를 활용한다.

교육부는 평생교육 단과대에 들어갈 수 있는 최소 연령과 직장 경력 등의 기준을 마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학사관리는 성인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해 다학기제 운영 활성화, 재학 연한 및 이수학점 제한 폐지, 야간·주말과정과 온·오프라인 수업 병행 등으로 이뤄진다. 또 외부강사 위주인 평생교육원과 달리 전임교수가 직접 강의를 담당하게 된다.

성인 학습자의 부담을 완화하는 차원에서 등록금을 학기별이 아니라 학점당 납부할 수 있도록 하고 국가장학금Ⅱ 유형을 우선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올해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위한 법령 정비와 규제 완화 등 제도적 기반을 조성할 계획이다. 내년에는 수도권과 지방 대도시 등을 중심으로 우수 대학 10개 정도를 선정해 체제 개편을 지원하기로 했다. 평생교육 단과대는 은퇴자의 평생교육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대응하는 것이다.

올해 다양한 기관에서 교육을 받는 성인 학습자는 학점은행제 8만767명, 독학학위제 1358명, 고용노동부의 폴리텍 학위과정 8240명, 대학의 재직자 특별전형 5932명 등 14만명이나 된다. 아울러 평생교육 단과대는 대학 정원에 포함되는 만큼 정부의 대학구조개혁 정책과 맞물려 있다.



이도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