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증후군이 심혈관질환 사망위험도를 증가시킨다고 알려진 가운데 대사증후군의 여러 요인 중 당뇨병과 고혈압이 직접적 원인임을 밝힌 연구가 나왔다.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 혈압상승, 중성지방상승, HDL콜레스테롤 저하, 공복혈당상승 같은 주요 위험인자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원장 신호철) 순환기내과 성기철 교수와 내분비내과 이은정 교수 연구팀은 2002년부터 2009년까지 건강검진을 받은 15만597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조사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41.8세였다. 연구팀은 조사 시점에 대사증후군이 있고 없음을 비교한 후 해당 기간에 사망한 542명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과 심혈관질환의 인과관계를 후향적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대사증후군을 가진 사람은 없는 사람에 비해 심혈관질환 사망위험도가 약 1.6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대사증후군 선정은 체중, 체지방지수(BMI), 혈압, 콜레스테롤, 혈당 검사 결과를 통해 분류했다.
대상자 중 고혈압과 당뇨병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를 제외하고 분석하면 대사증후군에 의한 사망위험도의 증가가 통계학적 의미가 없어졌다. 즉 대사증후군에 의한 심혈관질환 사망위험도의 증가는 고혈압과 당뇨병에 의한 심혈관 사망위험도가 많은 기여를 하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된 것이다.
한편 대사증후군은 다음 5가지 항목 중 3개 이상을 가지고 있으면 해당된다. ▲허리둘레 남자 90㎝ 이상, 여자 85㎝ 이상, ▲수축기혈압 130㎜Hg 또는 이완기혈압 85㎜Hg 이상 또는 고혈압 관련 약제 복용 ▲ 중성지방 150㎎/㎗ 이상 또는 이상지질혈증 관련 약제 복용 ▲ HDL콜레스테롤 남자 40㎎/㎗ 이상 또는 이상지질혈증 관련 약제 복용 ▲ 공복혈당 100㎎/㎗ 이상 또는 당뇨병 관련 약제 복용 등이다.
이번 연구는 국제적인 내분비학회지 미국 내분비학회의 임상 내분비 저널 JCEM(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Metabolism) 온라인판에 게재 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심혈관질환의 최고 위험요인은?… 당뇨와 고혈압
입력 2015-05-26 1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