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 일본 16개 역사단체 군위안부 왜곡 중단 촉구 성명

입력 2015-05-25 16:59

역사학연구회 등 일본의 16개 역사 연구·교육 단체는 25일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왜곡 중단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다음은 일본어와 영어로 발표된 성명을 번역한 것이다.


위안부 문제에 관한 일본의 역사학회·역사교육자단체의 성명


아사히 신문에 의한 2014년 8월의 기사 취소를 계기로 해서 일본군 위안부 강제연행의 사실이 근거를 상실한 것처럼 하는 언동이 일부 정치가, 언론에서 보인다. 우리 일본의 역사학회·역사교육자단체는 이런 부당한 견해에 대해 이하의 3가지 문제를 지적한다.

첫째, 일본군이 ‘위안부’의 강제연행에 관여한 것을 인정한 일본 정부의 견해표명(고노담화)은 해당 기사(취소한 아사히 신문 기사)와 그것에 근거한 요시다 세이지의 증언을 근거로 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기사의 취소에 의해 고노담화의 근거가 무너진 것은 아니다. 강제연행된 ‘위안부’의 존재는 이제까지 많은 사료와 연구에 의해 실증돼 왔다. 강제연행은 단지 강제로 끌려간 사례(인도네시아 스마랑, 중국 산둥성에서 확인됐고 한반도에도 많은 증언이 존재)에 한정되어서는 안되고 본인의 의사에 반해 연행된 사례(한반도를 포함한 광범위한 지역에서 확인)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둘째, ‘위안부'가 된 여성은 성노예로서, 필설로 다하기 어려운 폭력을 받았다. 근년의 역사연구는 동원과정의 강제성 뿐 아니라 동원된 여성들이 인권을 유린당한 성노예의 상태에 놓인 것을 분명히 하고 있다. 더욱이 ’위안부' 제도와 일상적인 식민지 지배·차별구조와의 관련성도 지적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성매매의 계약이 있었다고 해도 그 배후에는 불평등하고 불공정한 구조가 존재했기에 관련된 정치적, 사회적 배경을 무시하는 것은 문제의 전체상으로부터 눈을 돌리는 것에 다름 아니다.

셋째, 일부 언론에 의한 ‘오보'를 강조한 보도에 의해 ‘위안부' 문제와 관련된 대학 교원과 그 소속기관에 사직과 강의 취소를 요구하는 협박 등 부당한 공격이 가해지고 있다. 이것은 학문의 자유에 대한 침해로 결단코 용납할 수 없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사실로부터 눈을 돌리는 무책임한 태도를 일부 정치가와 언론이 계속보인다면 그것은 일본이 인권을 존중하지 않는다는 것을 국제적으로 홍보하는 것과 같다. 또 이런 태도는 가혹한 피해를 받은 일본군 성노예 제도의 피해자의 존엄을 더욱 유린하는 것이 된다. 지금 요구되는 것은 고노담화에도 있듯 역사연구·교육을 통해 관련된 문제를 기억에 남기고, 잘못을 반복하지 않는 자세다.

해당 정치가와 언론에 대해 과거의 가해 사실, 그리고 그 피해자와 진지하게 마주할 것을 다시 한번 요구한다.

2015년 5월 25일


<역사학관계 16단체>

일본역사학협회

오사카역사학회

규슈역사과학연구회

종합여성사학회

조선사연구회간사회

도쿄학예대학사학회

도쿄역사과학연구회

나고야역사과학연구회

일본사연구회 (하략)

전석운 기자 swc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