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야구 커뮤니티사이트는 25일 KT의 배트 투척사건으로 들끓었다. 문제의 상황은 지난 23일 KT의 홈구장인 경기도 수원구장에서 벌어졌다. 한화가 KT를 6대 1로 제압한 경기였다. 한화는 승리를 사실상 확정한 9회 무관심 도루와 잇단 투수교체를 감행했다. 추격의 빌미조차 허용하지 않겠다는 김성근(73) 한화 감독의 승부수였다.
점수차가 크게 벌어진 상황에서 번트·도루·투수교체 등으로 과도하게 승부욕을 발휘하지 말자는 암묵적 합의는 야구계의 불문율이다. 한국야구위원회(KBO)의 규정은 아니다. 한화의 승부욕에 KT는 발끈했다. KT의 주장 신명철(37)은 경기를 마치고 한화 선수단을 향해 욕설을 퍼부었다. 그라운드에서는 소란이 벌어지고 관중석에선 야유가 나왔다.
진짜 문제는 소란이 끝난 뒤에 발생했다. 누군가의 배트가 KT의 더그아웃에서 그라운드를 향해 날아들었다. 배트는 1루 앞으로 내동댕이쳐졌다. 마운드와 2루 사이까지 날아갔다. 그라운드에 남은 사람이 있거나 배트가 잘못 튀었을 경우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었다. 사람을 노리고 던진 것으로 볼 수는 없지만 배트 투척 자체가 위협적이었다.
투척의 장본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KT 선수단의 누군가로만 추정되고 있다. 일부 야구팬들 사이에선 KT의 2루수 박경수(30)가 던졌다는 주장이 나왔지만 확인되진 않았다. 두 팀 관계자와 현장의 관중들 사이에서만 떠돌았던 배트 투척사건의 전말은 중계방송 화면에 잡힌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일파만파 퍼졌다.
당시 경기의 중계방송사는 KBS N 스포츠다. 문제의 장면은 방송사가 중계를 마치고 야구장을 원거리로 비추면서 마지막 자막을 띄울 때 나타났다. 원거리여서 잘 보이진 않지만 네티즌들은 이 장면을 확대해 커뮤니티사이트로 옮겼다.
야구 커뮤니티사이트 네티즌들은 한목소리로 비난했다. “배트를 던진 행위만으로 야구와 관중을 모독한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 “상도의에 어긋난 상대방을 같은 방식으로 받아친 선수는 프로의 자격이 없다” “승부욕은 경기에만 발휘하면 된다. 지고 화풀이하는 게 무슨 소용인가”라고 지적했다.
KT는 배트 투척사건이 벌어진 다음 날이자 한화와의 홈 3연전 최종전인 전날 경기에서 13대 4로 대승했다. KT는 올 시즌 9번째 승리(37패·승률 0.196)를 쟁취했고 한화는 5할대 승률을 겨우 유지한 채 7위(23승22패·승률 0.511)로 하락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