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수수료 먹는 하마?” 지난해 ATM·CD기등 출금.송금 수수료 2165억원

입력 2015-05-25 11:03

주요 시중은행들이 ATM·CD기와 인터넷·모바일뱅킹 출금·송금 수수료만으로 한해 2000억원이 넘는 수입을 벌어들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신학용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25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시중은행 수수료 수입 현황’ 자료에 따르면 국민과 신한·우리·하나·외환·SC·씨티은행 등 7대 시중은행의 지난해 출금·송금 수수료 수입은 2165억원에 달했다. 이는 2013년의 2107억원 대비 2.7% 증가한 금액이다.

수수료 측면에서 보면 은행들이 가장 큰 돈을 벌어들이는 부분은 ATM·CD기였다. 7대 시중은행은 ATM·CD기에서 출금 수수료로 지난해 691억원을, 송금수수료로 563억원을 벌어들였다. 인터넷뱅킹과 모바일뱅킹 상의 송금수수료로 477억원, 173억원을, 폰뱅킹 송금수수료로 120억원을 수입을 기록했다. 은행 창구를 통한 송금 수수료는 137억원을 나타냈다.

은행별로는 국민은행의 지난해 수수료 수입이 639억원으로 가장 많다. 우리은행이 513억원, 신한은행이 483억원, 하나은행이 294억원, 외환은행 145억원, SC은행 74억원, 씨티은행 14억원 순이었다.

반면 막대한 수익에도 은행들은 ATM기의 운영비가 운영수입보다 많다며 점차 줄여가는 상황이다. 올해 4월 기준 국민·신한·하나·외환·우리·농협 등 시중 6개 은행의 ATM 3만6325개로 1년전보다 963개 줄었다. 은행들은 기계구입비와 CCTV 등 관련장비 설치비, 관리 용역비, 유지보수비 등 전체 관리비용이 수수료 수입보다 많아 통상 한 대를 운영하는데 연간 160여만 원의 손실이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