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상대화를 할 수 있는 ‘영상 공중전화기’가 군부대 안에 설치될 전망이다.
24일 국방부에 따르면 육·해·공군과 해병대의 중대급 부대에 1대씩을 목표로 올해 영상 공중전화기 보급 계약이 체결될 예정이다.
지난해 3월부터 9월까지 32대의 영상 공중전화기를 군부대에서 시범 운영한 결과 장병의 만족도가 상당히 높았던데 따른 조치다.
서로 얼굴을 보며 대화할 수 있는 이 전화는 장병 개인식별번호와 비밀번호를 통한 개인 인증을 완료한 후 사용할 수 있고 문자 송·수신 기능도 있다. 전화기 부스에 칸막이가 설치돼 통화 내용도 보장될 예정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작전사급 이상 부대에서 민간업체를 대상으로 올해 9~10월 중 계약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또 국방부는 부모가 군에 복무 중인 자식의 안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올해 말까지 모든 병영 생활관마다 병사 수신용 공용 휴대전화기 1대씩을 보급할 계획이어서 장병과 가족 및 사회 간의 소통이 더 원활해질 전망이다.
공용전화기는 수신 전용이다. 군 복무 중인 병사가 전화번호를 부모에게 알려주면 부모가 부대 일과 시간 후 취침 이전까지 전화를 할 수 있다.
육군 3만4191대, 해군 1395대, 공군 4622대, 해병대 2669대, 국방부 직할부대 1809대 등 모두 4만4686대가 보급되며 이를 위한 예산 12억원이 반영돼 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화상대화 가능한 영상 공중전화기 중대급에 1대씩 설치된다
입력 2015-05-24 1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