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만8000명 조선인 강제 징용 日 시설 세계유산 등재 협의”한일 정부, 합의 쉽지 않을 듯

입력 2015-05-22 07:57

한일 양국은 조선인을 강제 동원한 일본 근대산업시설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문제를 놓고 22일 오후 2시 일본 도쿄에서 처음으로 공식 양자 협의에 나선다. 이번 협의는 한일 양자가 대화를 통해 문제 해결 방안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세계유산위원회(WHC) 위원국들의 권고에 따라 우리 정부의 제안으로 개최됐다.
우리 정부 측 수석대표로는 최종문 외교부 유네스코 협력대표가, 일본 측에서는 신미 준(新美潤) 외무성 국제문화교류심의관이 참석해 약 1시간 반 가량 회담을 진행을 예정이다. 최 협력대표는 21일 오후 일본으로 출국했다.
일본 외무성에서 개최되는 이번 협의에는 우리 측 외교부·문화재청 주일한국대사관 관계자와 일본 측 외무성·내각관방·문화청 관계자들도 참여한다.

회담 결과 발표와 관련해 우리 정부와 일본 외무성은 해당 내용을 발표할 공식 브리핑은 예정해 두지 않고 있는 상태다.
우리 정부는 등재 추진 과정에서 조선인 강제 노동이라는 역사적 사실이 외면돼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일본에 진정성 있는 자세로 해결방안을 모색할 것을 요구할 것으로 전망된다. 해당 시설이 단순히 산업혁명 시설로 미화되는 것이 아니라 어떤 방식이나 형태로든 관련 역사적 사실을 반영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우리 측의 요구를 ‘정치적 주장’으로 규정하면서 일방적인 등재를 추진하고 있어 협의에서 양측의 치열한 공방전이 예상된다.

한편 일본 근대산업시설의 세계유산 등재 여부는 다음달 28일부터 7월 8일까지 독일 본에서 열리는 제39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최종 결정된다. 일본이 등재 신청을 한 23개의 산업시설 가운데 7곳에서는 5만7900명의 조선인이 끌려가 강제 노역을 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