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계파간 대립은 좀처럼 진정되지 형국이다. 실제로 혁신기구 위원장에 '조국 카드'를 두고는 비노진영에서 대대적 반발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21일 연합뉴스TV '남현호의 뉴스포커스'에 출연, "(조 교수에 대해) 비노의 모든 의원이 반대했다. 전화가 불나게 오더라"면서 "문 대표는 안 전 대표에게도 전권을 주지 못했는데, 조 교수에게 전권을 주겠나"라고 반문했다.
그는 "(조 교수가 제안한) 혁신공천과 현역의원 물갈이는 반드시 필요하다"면서도 "그러나 산술적으로 호남의원 40%를 물갈이 한다는데, 선거 때는 호남에 달려와 표를 달라고 하다가 선거가 끝나면 호남의 자존심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박 전 원내대표는 문 대표의 책임론을 거듭 거론하면서 "(문 대표가) 사퇴론 대신에 혁신위원장을 누구로 할지로 (화제를 돌려) 국면을 전환하는 데 성공했다"며 "그러나 이런 식으로 (책임론을) 모면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문 대표가 '사퇴할테니 중앙위 등을 소집해 (재신임을) 결정해달라'고 하는 등 노무현 전 대통령처럼 정면돌파를 했다면 정리가 됐을 것"이라며 "정치는 타이밍이다. 완전히 실기했다"고 지적했다.
김한길 전 대표도 문 대표를 향해 "대권 행보를 독주해서는 안된다"고 직격탄을 날리며, 혁신위 구성에 대해서도 "기구의 책임과 권한을 먼저 정하고, 누가 맡을지는 그 다음"이라고 쓴 소리를 했다.
반대로 비노진영을 공격하는 목소리도 점차 거세지고 있다.
울산시당 당원들은 이날 낮 국회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선거 패배의 책임을 물어 당을 깨고 딴 살림을 차리려는 노골적 해당행위가 도를 넘었다. 호남에서 회초리를 들었더니 적반하장으로 지도부를 바꾸자고 우기는 것"이라고 비노진영을 비판했다.
이어 "지도부를 중심으로 단결해야 한다"며 "기득권 주장과 계파 패권주의 조장행위를 엄정조치하라"고 촉구했다. 이는 문 대표가 앞서 사실상 비노 진영을 겨냥해 "기득권 세력"이라고 비판한 것과 흐름을 같이 한다.
이상헌 시당위원장 등 지도부는 회견 후 삭발식까지 진행했다.
당내에서는 선거 패배 후유증이 길어지며 당의 상처도 너무 깊어지는 것 아니냐는 불안감이 번지고 있다. .
총선이 1년도 남지 않은 가운데 순조롭게 대비하는 여당과 달리 야당은 재보선 후 3주가 지나도록 내분 수습에만 매달리고 있기 때문이다.
일단 지도부는 이번주 안에 혁신기구 인선과 구성을 마치고, 이를 토대로 강도높은 쇄신드라이브를 걸겠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새정치연합은 내달 4~5일로 예정했던 의원 1박2일 워크숍을 2~3일로 당겨서 실시, 당내 단합을 도모하고 총선 대비책을 세우기로 했다.
그러나 때마침 황교안 법무장관의 총리 내정이 겹친데다, 쇄신의 '핵심'인 혁신위원장 인선이 늦춰지며 이같은 '로드맵'도 지연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이 나온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혁신위원장에 조국? 비노 의원 전원 반대” 친노 당원,삭발식 감행
입력 2015-05-21 2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