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연합, 혁신기구 위원장 영입 절차 돌입

입력 2015-05-21 20:58

새정치민주연합이 21일 혁신기구 위원장에 조국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등 외부인사를 선임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고 영입절차에 들어갔다. 그러나 당내 인사를 선임해야 한다는 의견과 ‘혁신기구 무용론’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어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새정치연합 지도부는 21일 오전 비공개회의를 통해 혁신기구 위원장 선임 논의를 이어갔다. 김성수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복수의 후보군으로 좁혀 계속 논의를 진행 중”이라고 회의 결과를 설명했다. 후보군에는 조 교수를 포함해 안경환 서울대 명예교수와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 등 3~4명이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전날부터 거듭 고사를 표명해 온 안 전 대표는 포함되지 않았다. 앞서 안 전 대표는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좋은 분을 찾을 때까지 문 대표에게 시간을 달라”고 말했다.

지도부의 한 핵심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이번 주 내로 결론을 내기 위해 여러 가지 조합을 통해 최선의 카드를 만드는 노력을 하고 있다”며 “혁신기구 위원은 당내 인사로 하되, 위원장은 당외 인사가 맡는 것이 좋겠다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지도부는 후보군에 오른 각 인사들에게 위원장직 수락 의사를 확인 중이다.

가장 유력한 후보로는 조국 교수가 꼽히지만 ‘친노(친노무현) 인사’라는 꼬리표 때문에 선임 과정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전날 밤부터 새벽까지 이어진 비공개회의에서도 조 교수 영입이 비중 있게 제안됐으나 이종걸 원내대표의 강력한 반대로 결론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새정치연합은 지난해 9월 조 교수를 외부 비대위원장으로 영입하려 했지만 결국 무산됐다. 당시도 문 대표가 영입 작업을 주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당 사정을 잘 알고, 많은 의원 배려할 수 있는 내부 인사가 일치와 화합을 만드는 장본인이 됐으면 한다”며 조 교수 영입에 반대의사를 밝혔다. 그러나 조 교수의 ‘4선 용퇴론’ 등에 대해서는 “미래로 가는 정당이 해야 할 개혁과 쇄신을 원칙적으로 표현한 글”이라며 “새정치연합이 참고하고 받아야 할 원칙 가운데 하나”라고 평가했다.

조 교수 본인도 완곡한 거절 의사를 밝혔다. 그는 자신의 트위터에 “새정치연합 국회의원 한분 한분의 능력과 품성, 경륜이 저보다 백 배 낫다”며 “백면서생을 호출하지 마시고 130명의 선량(의원)들의 힘을 보여 달라”고 적었다. 조 교수와 개인적 친분이 있는 한 의원은 “누구를 (위원장으로) 불러오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혁신위가 만든 혁신안을 제대로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비노(비노무현) 진영은 여전히 혁신기구 자체에 대한 회의적 입장을 거두지 않고 있다. 문 대표가 4·29 재보선 패배와 당 내분의 책임을 혁신기구에 전가하려 한다는 주장이다. 한 비노계 인사는 “우리의 주장은 내년 총선과 정권교체를 위한 쇄신의 의지를 보여달라는 것”이라며 “문 대표가 친노 패권주의를 인정하는 것이 그 첫걸음”이라고 강조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