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정동화 전 부회장 사전구속영장, 전정도 세화엠피 회장 소환

입력 2015-05-20 17:56

검찰이 소환조사를 마치고 귀가시킨 지 14시간 만에 정동화(64) 전 포스코건설 부회장에 대해 200억원대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로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성진지오텍 고가 매수 의혹의 당사자인 전정도(56) 세화MP 회장도 검찰에 소환됐다. 포스코 비자금 수사가 ‘윗선’인 정준양(67) 전 포스코 회장을 향해 속도를 내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조상준)는 20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 배임수재, 입찰방해 혐의를 적용해 정 전 부회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그는 대표이사 재임기간인 2009~2014년 건설 현장에 투입된 현장 전도금 일부를 빼돌려 비자금을 조성하라고 부하 직원들에게 지시하고 조성 과정을 보고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이 방식으로 조성된 비자금은 100억원대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 전 부회장은 포스코건설 토목환경사업본부를 움직여 하도급업체를 통해 국내외 건설현장에서 100억원이 넘는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도 받고 있다. 공사비를 부풀려 지급한 뒤 일정부분을 돌려받는 방식이다. 2009년 8월~2013년 6월 베트남 ‘노이바이-라오까이’ 고속도로 공사현장에서 40억원대의 비자금이 조성됐다. 토목환경사업본부 전·현직 임원 10여명은 ‘새만금 방조제’ 사업 등의 하도급업체로부터 모두 50억이 넘는 비자금을 상납받았다. 검찰은 이런 비자금이 정동화 전 부회장을 거쳐 정준양 전 회장에게 흘러들어갔을 거라고 본다.

전정도 세화MP 회장은 2013∼2014년 포스코플랜텍이 이란석유공사에서 받은 거래대금 922억원을 위탁받아 관리하면서 이중 650억원을 가로챈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전 회장이 대표로 있던 성진지오텍 고가 매수 의혹도 수사선상에 올려놓고 있다. 포스코는 2010년 성진지오텍 지분을 인수하는 과정에서 시세의 2배 가까운 가격을 지불했다. 전 회장이 이명박정부 실세들과 친분이 있어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수사 결과에 따라 전 정부 실세들에 대한 금품로비 의혹으로 수사가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