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세 이상 중·장년층의 경우 스트레스가 많고 비만일수록 하루 6시간도 못잘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실업 상태에 있거나 흡연자인 경우 하루 10시간 이상의 부적정 수면을 취할 가능성이 크다.
서울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강대희 교수 연구팀은 이런 내용이 담긴 ‘한국인 중·장년층에서의 수면시간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를 국제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 5월호에 실었다고 19일 밝혔다. 2004~2008년 도시 기반 역학조사에 참여한 40~69세 8만4094명(남 2만7717명, 여 5만6377명)을 조사한 결과다.
연구팀은 미국수면재단(NSF)의 기준에 따라 ‘6시간 이하’와 ‘10시간 이상’을 모두 부적정 수면시간으로 봤다. 참여자들의 수면 시간과 사회경제적·심리적·신체적 요인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남성은 하루 6시간 이하로 잘 확률이 1.84배 더 높았다. 여성도 1.59배였다.
남성의 경우 스트레스뿐 아니라 비만과 독신인 상태가 6시간 이하 수면을 부르는 요인이었다. 반면 흡연자이거나 직업이 없거나 고도의 내장 비만일수록 10시간 이상 자는 확률이 높아졌다. 여성 역시 독신이거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체지방률이 높은 경우 잠을 적게 자는 확률이 커졌다. 직업이 없거나 전업주부인 경우, 흡연자인 경우,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10시간 이상 잘 확률이 높아졌다.
나이는 짧고 긴 수면시간에 모두 영향을 미쳤다. 60~69세 남성은 40~49세에 비해 6시간 이하로 잘 확률이 1.74배 높았지만 10시간 이상 잘 확률도 2.07배 더 컸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
스트레스로 잠 못자는 중장년층
입력 2015-05-19 1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