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전 공동대표가 4·29 재·보궐선거 전패로 코너에 몰린 문재인 대표로부터 연일 ‘SOS 요청’을 받고 있다. 안 전 대표는 문 대표 측으로부터 당 인재영입위원장을 제안받은 데 이어 당 ‘초계파 혁신기구’의 위원장으로까지 거론되고 있다. 안 전 대표 측에서는 문 대표와 손을 잡아야 한다는 ‘협력론’과 2012년 대선 단일화 실패를 거론하며 독자 행보를 해야 한다는 ‘경쟁론’이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다.
안 전 대표는 19일 기자들에게 보낸 문자메시지를 통해 “혁신기구 관련한 사안은 먼저 문 대표를 만나 대화를 나눠본 후에 말씀 드리겠다”고 짧게 밝혔다. 안 전 대표 측은 “최고위원회의에서 혁신기구 위원장으로 거론된다는 이야기를 전해 듣고 고심 중”이라며 “20일이나 21일 사이에 입장을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표 측에서 혁신기구 구성과 권한 등에 대해 구체적 언급이 없는 상황에서 먼저 입장을 밝히기는 어렵다는 취지다.
비노(비노무현) 진영의 대권주자인 안 전 대표가 혁신기구 위원장을 맡을 경우, 당내 갈등은 일단 봉합될 가능성이 크다. 김한길 전 공동대표와 박지원 의원 등이 ‘문 대표 전패 책임론’을 제기하고 있지만 안 전 대표가 당 쇄신 전권을 가진 혁신기구 위원장을 맡을 경우, ‘문재인 책임론’은 동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그동안 안 전 대표는 다른 비노 계파 수장과는 달리 문 대표 책임론에 비교적 신중한 입장이었다.
안 전 대표 측 내부에서는 문 대표의 제안에 대해 ‘격론’이 벌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협력론’을 주장하는 측은 유력대권주자인 문 대표와 안 전 대표가 힘을 합쳐 당을 살려야 한다는 취지다. 특정 계파 수장이 아닌 안 전 대표가 문 대표와 협력해 계파 갈등을 고쳐야 내년 총선은 물론, 2017년 대선도 기약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문 대표의 제안을 거절해야 한다는 ‘경쟁론’도 만만치 않다. 문 대표가 당을 이끌고 있는 상황에서 위원장을 맡는 것은 권한이 없는 ‘들러리’나 불과하다는 반박이다. 특히 2012년 대선 때부터 안 전 대표와 함께 했던 참모들은 대선 당시 단일화 실패와 대선 패배 이후 단일화 뒷이야기를 공개하며 ‘안철수 책임론’을 제기했던 친노(친노무현) 진영에 대한 불신이 여전히 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안 전 대표 측 한 관계자는 “지금은 일단 문 대표와 함께 당을 함께 살려야 한다는 협력론과 ‘벼랑 끝에 있는 문 대표를 도와줘도 되치기를 당한다’는 반론이 팽팽하다”며 “참모들의 여러 의견을 들은 후 안 전 대표가 곧 결정할 것”이라고 전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
안철수, 문재인 손 잡을까 말까
입력 2015-05-19 1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