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선박평형수 처리설비 기술 세계 최다 보유

입력 2015-05-19 10:29
해양생태계 교란 방지를 위해 원양어선과 화물선의 평형수를 살균소독 후 배출하는 의무를 규정한 국제협약 발효가 예상되는 가운데 한국이 관련 기술을 세계에서 가장 많이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지난 11일∼15일 영국 런던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열린 제68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에서 우리나라의 선박평형수 처리설비 4개 제품이 기본승인을 받았고 앞으로 최종승인 절차를 거치게 됐다. IMO에서 최종 승인받은 선박평형수 처리설비 37개 제품 가운데 한국제품이 13개(10여개 업체)로 우리나라는 세계 최다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평형수는 선박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탱크에 넣고 빼는 바닷물을 뜻하는데 선박이 국경을 넘어 다니다 보니 국가간 생물이동으로 생태계 교란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평형수 속 수중생물과 미생물을 제거하고 나서 배출하도록 하는 ‘선박평형수 관리협약’이 2004년 채택됐고 올해 말까지 요건이 충족되면 1년 뒤 발효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업체들이 관련 기술을 적극적으로 개발한 결과 2010∼2013년 주로 신규 건조하는 선박 1643척에 1조616억원 상당의 평형수 처리설비 계약을 수주했고 2014년에는 926척, 3809억원 상당을 수주했다. 2010∼2014년 선박평형수 처리설비 전세계 수주액 2조6001억원 가운데 한국업체의 점유율은 55%(1조4425억원)에 이른다.

세종=윤성민 기자 wood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