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연금개혁 무산에 책임을 지고 18일 사의를 표명한 조윤선 청와대 정무수석이 애초 이 개혁의 4월 임시국회 처리가 불발된 지난 6일 사퇴를 결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청와대와 여야 대표가 국민 앞에 공무원연금개혁을 처리하겠다고 약속한게 지난 6일인데 무산이 됐다. 조 수석은 그날 밤 사표를 내겠다는 마음을 굳혔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조 수석은 개혁안 처리 불발이 자신의 잘못 때문은 아니지만 누군가는 책임을 져야 한다는 뜻이 강했다고 한다.
이에 따라 조 수석은 다음날인 7일 오전 이병기 청와대 비서실장에게 사표를 제출했다.
하지만 이는 곧바로 수리되지 않았고, 박근혜 대통령은 열하루가 지난 이날에서야 조 수석의 사의를 수용했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이 이날 춘추관 브리핑에서 조 수석의 사의 표명 및 박 대통령의 수용 사실을 전하면서 사의 표명 시점을 '오늘(18일) 오전'이라고 명시한 것으로 미뤄 이 실장이 조 수석의 사의를 자신의 선에서 당분간 보류했을 것이라는 추정이 가능해 보인다.
청와대의 한 인사도 "비서실장 차원에서 조 수석의 사표를 보류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처럼 지난 7일 제출된 조 수석의 사표가 그동안 처리되지 못한 것은 개혁안 처리 불발의 직접 원인이 된 '국민연금 명목소득 대체율 50% 인상' 문구의 합의안 명시를 청와대가 언제 파악했느냐를 두고 당청간 '진실공방'이 불거졌기 때문이라는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당청이 '50% 인상' 문구의 파악 시점 등 개혁안 무산에 대한 책임 공방을 벌이는 와중에 조 수석의 사표가 처리되면 청와대 스스로 잘못을 인정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나아가 당청 간 갈등도 더욱 심화되면서 자칫 공무원연금개혁 자체가 완전히 물건너가는 상황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했다는 것이다.
이러다보니 조 수석의 사표는 계속 보류되다 지난 15일 밤 긴급 소집된 고위 당정청 결과 여권 내부의 '불협화음'과 '엇박자'가 정리된 이후 주말과 휴일을 거쳐 월요일인 이날 박 대통령에 의해 전격적으로 수리됐다.
청와대의 한 핵심 관계자는 "고위 당정청을 함으로써 당청 간 갈등 구도가 해결되고 공무원연금개혁에 대한 여권의 입장도 정리가 되면서 조 수석의 사표 문제도 처리가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정치권에서 제기된 '사실상 경질' 해석에 대해 "조 수석은 세월호 정국의 구원투수로 들어와 세월호뿐 아니라 총리 연속 낙마사태, 문건파동 등 현 정부의 어려운 문제를 다 헤쳐왔고, 이번 개혁안 처리 과정에서도 본인이 주도해서 뛰었다"며 "결국 조 수석은 개혁안 무산에 대해 정치적 책임을 진 것이며 '사퇴의 변'도 어젯밤 직접 작성했다"고 강조했다.
조 수석은 이날 오후 짐을 싸 청와대를 떠났다고 한다. 조 수석은 당분간 휴식을 취하면서 내년 총선을 준비할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현 정부 출범 이후 여성가족부 장관에 청와대 정무수석까지 다양한 경험을 쌓은 만큼 다시 박 대통령의 호출을 받아 핵심 공직에 중용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조윤선,이미 지난 6일 사퇴 결심했다”...7일 이병기 실장에게 사표 제출
입력 2015-05-18 2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