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완종 리스트’ 특별수사팀이 홍준표(61) 경남지사와 이완구(65) 전 국무총리를 모두 불구속 기소키로 방침을 굳혔지만, 기소 시점을 놓고는 막판까지 고심 중이다. 두 사람의 기소 문제는 수사 전체 방향이나 전략과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수사팀은 18일 홍 지사와 이 전 총리의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관련 보강조사를 벌이는 한편 그간 확보한 자료와 진술 등을 종합해 수사 상황을 재점검했다. 20일쯤 신병처리 방안과 향후 수사계획을 김진태 검찰총장에게 보고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수사팀은 두 사람을 ‘금품 메모’에 오른 나머지 6인과 분리해 우선 정리한 뒤 다른 의혹 수사에 집중하는 방식을 검토 중이다. 다만 두 사람에 대한 기소시기를 늦추고, 남은 수사를 진행한 뒤 일괄 처리하자는 의견도 검찰 내부에서 나온다. 이 경우 수사결과 발표 시점이 대폭 앞당겨 질 수 있다.
최근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운영하던 서산장학재단에서 압수한 자료가 변수가 될 전망이다. 서산장학재단은 성 전 회장의 비자금 창구 역할을 한 것으로 의심받고 있다. 압수물 분석에서 수사 동력이 될만한 단서가 나오면 새로운 수사 전략이 필요할 수 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검사 임관혁)는 18일 김진수(55) 전 금융감독원 부원장보를 직권남용 혐의 피의자로 소환 조사했다. 검찰은 2013년 금감원이 당시 국회 정무위원이던 성 전 회장의 눈치를 보고 채권금융기관에 압력을 행사해 결국 경남기업이 법정관리를 피하고 워크아웃에 돌입하는 데 도움을 줬다고 본다. 금감원은 “채권금융기관 간 이견이 조정되지 않으면 금감원의 관여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앞서 검찰 조사를 받은 채권금융기관 관계자들은 “경남기업처럼 주채권은행과 다른 채권금융기관의 협의 이전에 금감원이 방해한 사례는 거의 없었다”고 진술했다.
검찰은 김 부원장보를 상대로 경남기업의 관계(官界) 로비대상이 됐는지도 확인할 방침이다. 검찰은 김 전 부원장보가 유독 성완종 의원실에 자주 방문했고, 일부는 자발적으로 방문한 때도 있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지호일 이경원 기자 blue51@kmib.co.kr
검찰,김진수 전 금감원 부원장보 피의자로 소환 조사
입력 2015-05-18 1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