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한 중인 존 케리 미국 국무부 장관이 18일 “국제사회가 북한에 대한 압력을 가중시켜 (북한의) 행동을 변화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유엔 안보리 제재를 받는 와중에 또 다시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SLBM) 시험발사를 한 북한에 대해 강도 높은 추가 제재를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케리 장관은 서울외교부청사에서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의 한·미 외교장관회담 직후 공동기자회견을 갖고 “우리에게 가장 큰 안보 우려사항은 북한”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북한은 핵무기와 탄도미사일을 계속 추구하고 있고, 약속을 어기며 (국제사회를) 위협한다”며 “국제사회는 북한의 여러 악행과 자국민에 대한 악행에 대해 계속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SLBM은 매우 도발적이고 유엔이나 국제기준에 어긋나는 것으로 또 하나의 도발일 뿐”이라며 “북이 가하는 한반도 평화와 안보에 대한 어떤 위협에도 완전히 결단력 있게 대처할 것”이라고 했다.
현영철 인민무력부장 처형에 대해서는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말도 안 되는 핑계를 갖고 숙청하고 있다”며 “북한이 세계에서 가장 존엄성이 없다는 걸 보여주는 사례”라고 했다. 또 “유엔은 이 문제도 인권문제로 국제형사재판소(ICC) 회부 사안으로 보고 있다”고도 했다.
한·일 관계에 대해선 “양국이 민감한 역사 문제는 자제심을 갖고 대처하고, 계속 대화하며 서로 수용할 수 있는 해결책을 찾길 바란다”고 했다. 아울러 “(역사 문제는) 치유와 화합의 방향으로 대처하는 게 좋겠다고 얘기했다”고도 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인신매매(human trafficking)’이라 표현한 게 적절하다고 보느냐는 취재진 질문에는 “(미국은) 이 문제가 아주 무자비한 인권침해, 잔혹하고 끔찍한 침해라 얘기해왔다”고만 답했다.
미·일 방위협력 지첨 개정 문제와 관련해선 “한국 입장에서 (한국정부가) 승인하지 않는 행동을 (일본이) 하는 것은 절대로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미 외교장관은 회담에서 북한 도발 위협의 심각성과 북한 내부정세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대북 정책공조, 연합 억지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밖에 박 대통령의 6월 미국방문에 대한 의제를 조율하고 양국간 경제현안과 국제사회에서 역할 문제 등도 협의했다.
앞서 케리 장관은 청와대로 박근혜 대통령을 예방해 “6월 워싱턴 방문을 기대한다”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메시지를 전달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케리 美국무 “압력 가중시켜 북한 행동 변화시켜야” 추가 제재 시사
입력 2015-05-18 2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