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성완종이 만든 서산장학재단 압수수색…대선자금·특사의혹 본격수사

입력 2015-05-17 17:05
‘성완종 리스트’ 특별수사팀이 2012년 불법 대선자금을 겨냥한 ‘제2라운드 수사’에 돌입했다.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두 차례 특별사면 의혹에 대한 사실관계도 들여다보고 있다(국민일보 5월 15일자 1·3면 참고). 우선순위였던 홍준표 경남지사와 이완구 전 국무총리를 불구속 기소하는 쪽으로 마무리하면서 나머지 6명의 리스트 등장인물로 수사범위를 확대할지 주목된다.

수사팀은 지난 15일 성 전 회장이 설립한 충남 서산시 해미면의 서산장학재단을 압수수색한 것으로 17일 알려졌다. 검찰이 이번 수사와 관련해 서산장학재단 사무실을 압수수색하기는 처음이다. 수사관들은 성 전 회장의 집무실 등에서 장학금 모금내역과 재단 운영비 집행내역 등 각종 회계자료가 담긴 컴퓨터 하드디스크, 문서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수사팀은 성 전 회장이 불법 대선자금을 조성하는 ‘세탁 경로’로 서산장학재단을 이용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 1991년 설립된 서산장학재단은 성 전 회장의 영향력이 절대적이다. 지역 학생을 지원한다는 본래 목적 외에 성 전 회장의 선거나 의정활동 때 사조직 역할을 했다는 의혹도 꾸준히 제기돼왔다.

서산장학재단은 성 전 회장이 19대 총선에 출마하기 직전인 2011년에 지역구인 충남 서산에서 열린 ‘가을음악회’ 개최를 사실상 주도한 혐의로 성 전 회장과 함께 재판에 넘겨지기도 했다. 서산장학재단은 성 전 회장이 지난해 유죄를 확정받고 국회의원직을 상실하기 전까지 법원과 청와대에 탄원서를 제출하는 등 구명활동에도 적극적이었다.

특히 수사팀은 서산장학재단 돈줄이 대아레저산업과 대아건설 등 경남기업의 계열사였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 계열사들은 성 전 회장의 비자금 조성창구로 지목된 ‘현장전도금’ 32억원의 출처이기도 하다. 장학금 지급내역이 정치적 일정과 맞물려 급격한 증감을 보인 점도 의심스런 대목이다. 2005년 8억여원이었던 장학금 지급내역은 18대 총선을 앞둔 2007년과 2008년에 19억원대로 급증했다. 대선이 진행된 2012년에는 266만원으로 급감했다.

수사팀은 2012년 대선 당시 서산장학재단의 돈이 유력 정치인에게 불법 정치자금으로 건네졌는지 확인하기 위해 압수물을 분석 중이다. 리스트에 등장한 새누리당 홍문종 의원과 유정복 인천시장, 서병수 부산시장 등 대선캠프에서 핵심 역할을 맡은 정치인들로 수사가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수사팀 관계자는 “몇 가지 집중적으로 볼 사안들이 있다”고 말했다. 한장섭 전 경남기업 부사장과 박준호 전 상무, 이용기 홍보부장 등 성 전 회장 측근에 대해서도 2012년 대선으로 초점을 옮겨 다시 조사 작업을 진행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성 전 회장의 두 차례 특별사면과 관련한 사실관계 확인작업도 진행 중이다. 수사팀은 지난 주말 법무부로부터 사면 관련 내부 보고서, 결재서류 등을 제출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수사팀은 사면 내부논의 과정과 성 전 회장의 일정·동선 등을 분석해 구명 로비가 있었는지를 확인할 계획이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