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강퉁 6개월…평가와 문제

입력 2015-05-17 11:42
중국 본토 주식 직접 거래의 길을 터준 후강퉁이 급성장을 하고 있다. 시행 6개월을 맞은 우리나라의 경우 ‘큰 손’이 몰려 후강퉁을 통한 중국 주식 거래대금은 5조원을 넘은 것으로 추정됐다. 국내에서 후강퉁 직·간접 투자자 수는 3만명 안팎인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1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작년 11월 17일부터 지난달 16일까지 후강퉁 시행 5개월(95거래일)간 국내 투자자의 거래대금은 4조4422억원(일평균 468억원)으로 집계됐다.

월평균 거래대금 8884억여원을 고려할 때 아직 집계되지 않은 최근 한 달(20거래일)치를 합치면 시행 6개월간 거래대금은 5조원을 넘는다는 계산이 나온다. 후강퉁 투자자의 거래대금은 국내 주식 투자자 평균 거래대금의 두 배를 웃돈다.

국내 투자자의 후강통 거래대금은 시행 첫 달 2803억원에서 2개월째 9484억원으로 3배 이상 늘었다. 거래액은 3개월째 5000억원대로 떨어지고선 5개월째에 1조7718억원으로 다시 급증했다.

전종규 삼성증권 책임연구위원은 “국내 투자자들은 후강퉁을 통해 철도와 건축관련주 등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 테마주를 많이 사들였고, 보험과 헬스케어 등 중국 경제 성장 유망 대형주도 많이 거래했다”고 설명했다.

‘후강퉁’을 통해 중국 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한국인은 2만명이 넘을 것으로 추산됐다. 국내 후강퉁 거래대금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삼성증권과 2위 유안타증권의 거래 고객은 현재 각각 1만명과 7000명을 웃돈다. 펀드나 랩 계좌 등을 통한 간접 투자자 6800명까지 포함하면 국내에서 후강퉁관련 투자자는 3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후강퉁 투자자는 거액의 자산을 가진 ‘큰 손’이 대부분이다. 40∼50대 비중이 가장 높고 30대 등의 젊은층도 늘어나는 추세다. 업계는 당일매매가 허용되면 온라인 매매 중심으로 고객이 많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지금은 당일 매수해 당일 파는 데이트레이딩(초단타매매)은 할 수 없다.

일각에선 중국 증시가 단기 과열 양상을 보이는 만큼 ‘경계론’도 나온다. 실제 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CSRC)는 지난달 증시 과열을 경고하는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외국인의 후강퉁 매수세는 지난 3월 23일 1106억위안(약 19조3627억원)에서 지난달 16일 999억위안(약 17조4894억원)으로 감소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우려할 수준은 아니지만, 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도현 삼성증권 연구위원은 “중국 증시는 장기적으로 성장 가능성이 있지만, 과열된 종목도 있으므로 무분별한 투자를 경계해야 한다”며 “전문가의 투자의견 등을 꼼꼼하게 따져보고 투자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천지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