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70돌 준비위, “19~20일 개성서 남북접촉 하자”

입력 2015-05-16 23:51
‘광복 70돌, 6·15 공동선언 발표 15돌 민족공동행사 준비위원회'가 오는 19∼20일 개성에서 남북 접촉을 하자고 북측에 제안했다. 남북 민간단체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6·15, 8·15 공동 기념행사에 대해 북측이 자신들의 주장을 고집하며 무산 가능성을 시사하자 적극적인 대응에 나선 것이다.

준비위는 16일 대변인 성명을 통해 “당면한 6·15 서울 대회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을 감안해 지난 14일 북측 준비위에 19∼20일 개성에서 접촉할 것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북한의 6·15 공동선언실천 북측위원회 대변인은 15일 6·15 공동선언 15주년 기념행사는 서울에서, 8·15 광복 70주년 기념 공동행사는 평양에서 개최하기로 한 합의를 변경할 수 없다며 공동행사 무산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에 대해 이승환 광복 70돌 준비위 대변인은 “지난 5~7일 남북 실무접촉에서 공동행사 장소 문제와 관련해 여러 논의가 있었으나 장소 문제가 논란의 중심이 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공통인식과 합의가 있었다”고 강조했다.

이 대변인은 또 “우리의 기본 입장은 6·15 서울 개최 합의는 변함없이 유효하지만 광복 70돌 공동행사는 남북이 합의한 바 없다”며 “광복 70돌 공동행사 장소 문제는 앞으로 논의하여 결정하면 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당면한 6·15 공동행사 준비는 물론이고 8·15 행사 장소 문제 등을 협의하기 위해 남북 접촉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며 “올해 공동행사 성사를 위해 남과 북 양 당국의 적극적인 지원과 협조를 간곡히 호소한다”고 덧붙였다.

남북 양측은 6·15 공동선언 15주년과 8·15 광복 70주년 공동행사와 관련해 지난 5∼7일 중국 선양에서 실무접촉을 갖고 공동행사 개최엔 합의했으나 장소 문제는 완전히 확정짓지 못했다. 6·15 공동행사를 서울에서 개최하는 것은 잠정 합의했으나 8·15 광복 70주년 공동행사는 민족 정통성을 과시할 수 있다는 상징성이 큰 행사인만큼 남북 양쪽이 모두 탐을 내고 있기 때문이다.

북측이 8·15 공동행사 평양 개최를 양보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는데다 행사에서 ‘정치색'을 배제할 수 없다는 입장까지 고수함에 따라 공동행사 성사에 빨간불이 켜졌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