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의 미발표 입장문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문 대표는 지난 14일 발표할 예정이었던 ‘당원 여러분께 드리는 글’에서 “재·보선 패인을 치열하게 따지고 평가하는 과정은 반드시 필요하다”면서도 “패배의 책임을 막연하게 친노 패권주의 탓으로 돌리는 것이 온당한지 묻고 싶다”고 말했다.
또 “당 일각의 지도부 흔들기는 도를 넘었다”며 “지도부를 무력화시켜 기득권을 유지하려 하거나 공천 지분을 확보하기 위한 사심이 있다면 결코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민집모(민주당 집권을 위한 모임)’ 소속인 한 초선 의원은 15일 “우리가 언제 문 대표에게 공천 지분을 달라고 요구한 적이 있냐”며 “하지도 않은 이야기를 갖고 공격을 하고 나오니 황당하다”고 밝혔다. 비노 진영 한 중진 의원은 “결국 양 진영이 함께 당을 할 수 없게 될 것 같다”며 “공식적으로 발표하지 않았다고 해도 결국 언론을 통해 문 대표의 생각이 적나라하게 공개된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비노 성향 원로들은 문 대표의 미발표 입장문에 대한 논의를 위해 이날 조찬 회동을 했다. 이 자리에서 정대철 상임고문은 다시 문 대표의 사퇴를 요구했다.
정 고문은 “내가 문재인 대표 같으면 물러나는게 좋은 것 같다. 그 이유는 자기 자신을 위하는 것이기 때문"이라며 "정치는 결과에 책임을 지게 돼 있다. 책임정치를 위해 그만두는 것이 당과 자기 자신에게도 이롭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권노갑 상임고문은 “우리가 요구하는 것은 절대 그런 지분 문제는 아니다. 그렇게 오해하면 안 된다”며 “(문 대표의)상황 인식이 다르다. 절대 우리는 지분 문제를 이야기한 일이 없다. 오늘 중 문 대표에게 전화해 일단 내용을 확인하고 (입장을) 발표하겠다”고도 했다.
이에 맞서 문 대표는 “제가 정치를 시작한 이유도 국민이 바라는 방향으로 정치를 변화시키려고 한 것이다”며 “기득권에 안주해서는 우리 당의 희망도 미래도 없다. 저부터 기득권을 내려놓겠다”며 정면 돌파 의지를 드러냈다.
그러나 전병헌 최고위원은 "당분간 절제의 시간, 휴전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 "당의 분열이나 분당까지 얘기하는 건 사악한 생각이다. 단합하라는 게 민심이자 당심이다"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새정치연합이 공멸하고 있다?” 친노-비노 공천권 지분 싸움 전개되나
입력 2015-05-15 14:13 수정 2015-05-15 1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