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쇄신위 구성, 차원이 다른 변화 올 수도

입력 2015-05-14 20:27

포스코가 25개 계열사 대표들과 포스코 사내이사들의 사표를 제출받고 권오준 회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비상경영쇄신위원회(이사 쇄신위원회)’를 구성했다. 검찰 수사로 인한 이미지 추락, 전 세계적인 철강업계의 경영 악화 등 중첩된 위기 상황을 ‘사즉생’의 자세로 극복하겠다는 조치다. 검찰 수사 결과와 쇄신위원회 논의 결과에 따라서는 대대적인 인사와 구조조정 바람이 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포스코는 14일 “최근 검찰 수사 등으로 실추된 기업 이미지를 회복하고, 국민적 신뢰를 되찾기 위해 비상경영쇄신위원회를 구성하고 대대적이고 구체적인 경영쇄신방안 마련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쇄신위원회는 권 회장이 위원장을 맡고, 김진일 사장 윤동준 부사장 등 포스코 사내이사들과 대우인터내셔널, 포스코건설, 포스코에너지 등 주요 5개 계열사 대표들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포스코의 전 계열사 대표들과 10여명인 쇄신위원 전원은 쇄신위원회 출범에 앞서 권 회장에게 사표를 제출했다. 쇄신위원회는 구조조정, 책임경영, 인사혁신, 거래관행, 윤리·의식 등 5개 분과위로 나눠 구체적인 경영쇄신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쇄신위원회의 출범은 포스코 사외이사들의 강력한 쇄신 요구가 배경으로 작용했다는 후문이다. 신재철 전 한국IBM 대표이사, 김주현 전 현대경제원 원장, 안동현 서울대 교수 등 사외이사들은 지난달 30일 ‘포스코 경영위기 극복을 위한 제언’을 권 회장에게 전달했다. 사외이사들은 포스코 구조조정, 공정한 인사시스템 마련, 거래 관행의 투명성 확보, 비리 적발 시 무관용 원칙 적용 등의 4가지 쇄신안을 요구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포스코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사외이사들의 강력한 요구가 있었던 것으로 안다”며 “권 회장을 비롯한 그룹 내 위기감이 어느 때보다 높다”고 전했다.

포스코의 구체적인 쇄신 방안은 아직 마련되지 않았다. 다만 포스코 고위관계자는 “지금까지 해왔던 통상적인 쇄신이 아닌 ‘차원이 다른 변화’가 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전 계열사 대표들의 사표를 제출받은 만큼 검찰 수사 결과에 따른 대대적인 인사 폭풍이 휘몰아칠 수도 있다. 특히 권 회장이 지난해 취임 이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던 포스코 구조조정 작업의 폭과 속도가 더욱 빨라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또한 두 달여간 진행된 검찰 수사로 하청업체로부터의 불법 상납, 비자금 조성 등 포스코의 불법 행위들이 상당수 확인되고 있다는 점도 대대적인 쇄신작업을 강제한 요인으로 분석된다. 재계 순위 6위(공기업 제외)인 포스코는 오너가 없이 이사회와 전문 경영인 체제로 운영되는 지배구조를 가지고 있다. 일종의 국민기업이라는 성격도 있기 때문에 포스코는 일반기업보다 더 높은 수준의 윤리의식을 요구받는 측면이 강하다. 포스코 관계자는 “정확하게 발표되지는 않았으나 검찰 수사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납품 거래 관행 전반을 대대적으로 바꾸는 안들이 논의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