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 강제노동 장소가 포함된 산업 시설의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등록에 쐐기를 박기 위한 일본의 막판 로비전이 본격화했다.
일본 정부는 오는 7월초 세계유산 등록을 결정하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위원국(한국과 일본 포함 총 21개국)에 외무성 등 관계 부처 부(副)대신과 정무관(이상 차관급 정무직)을 잇달아 파견하고 있다고 NHK가 14일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위원국들에 총 7명의 부대신 또는 정무관을 파견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기우치 미노루 외무성 부대신이 세계유산위원회 의장국인 독일을 이미 방문했으며, 나카야마 야스히데 외무성 부대신은 부의장국 중 하나인 자메이카를 다음 주 방문할 예정이라고 NHK는 전했다.
유네스코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는 지난 4일, 일본 규슈 지역을 중심으로 8개 현에 걸친 총 23개 산업시설의 세계 문화유산 등록을 유네스코에 권고했다. 일본 정부가 추천한 이들 시설에는 나가사키 조선소, 하시마 탄광 등 조선인 수만 명이 강제노동한 현장 7곳이 포함됐다.
조선인 강제노동 문제를 거론하지 않은 채 일본 산업시설들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하는 것은 인권 차원에서 문제가 있다는 것이 한국 정부의 입장이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이를 ‘정치공세’로 규정하며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양국 외교 당국은 오는 22일 도쿄에서 이 문제에 대해 협의할 예정이다.
이종선 기자
日, 유네스코유산 결정 국가에 차관급 파견…막판 굳히기
입력 2015-05-14 0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