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징계, 새정치 분열 새뇌관 급부상” 비노계 탈당 현실화되나

입력 2015-05-13 00:02

새정치민주연합이 4·29 재보선 패배 책임론을 두고 극심한 내홍에 휩싸인 가운데, '공갈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킨 정청래 최고위원의 징계가 계파갈등을 재점화하는 새 뇌관으로 부상했다.

당내 비노그룹에서는 정 최고위원에 대한 출당 등을 촉구하며 공세를 펴고, 문재인 대표 등 지도부는 수세를 취하는 등 계파간 대리전이 전개되는 모습이다.

비노진영을 중심으로 책임론이 계속되고 주승용 최고위원이 사퇴의 뜻을 굽히지 않아 지도부가 사실상 '식물상태'로 몰린 가운데, 문 대표는 당내 의원그룹을 차례로 만나는 등 돌파구 마련에 부심했다.

정 최고위원의 '공갈발언'과 주 최고위원의 사퇴를 매개로 가파른 대립을 이어가던 비노그룹과 친노그룹은 이번에는 정 최고위원에 대한 징계문제를 두고 정면충돌했다.

오전부터 평당원 수십여명이 정 최고위원에 대한 징계안을 제출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비노 의원들 사이에서는 당적을 박탈하거나 최소한 당원자격정지를 시켜 발언권을 없애야 한다는 의견이 터져나왔다. 정 최고위원의 '입'을 막아 내년 총선 전까지 '설화'에 말려드는 일을 없애야 한다는 주장이다.

오후 의총에서는 비노그룹 김동철 의원이 공개발언을 통해 정 최고위원에 대한 출당 조치를 요구했다. 특히 김 의원은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저를 비롯해 뜻있는 의원들이 함께 결단하겠다"고 말해 집단탈당 가능성까지 열어뒀다.

문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서도 징계관련 질문에는 침묵으로 일관하며 수세적 태도를 보였다. 정 최고위원 역시 이 질문에 대해 "대답하지 않겠다"고만 말했다.

이번 파문의 도화선이 됐던 주 최고위원과 정 최고위원의 대립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모습이었다. 전당대회서 1·2위로 당선된 이들이 전열에서 이탈하면서, 최고위원회 역시 사실상 기능을 상실한 모습이다.

정 최고위원과 문 대표는 이날 국회 본회의장에서 주 최고위원과 '어색한 조우'를 했지만, 결국 주 최고위원의 마음을 돌리지는 못했다.

본회의장에서 정 최고위원과 주 최고위원은 옆자리에 앉아 5분 가량 대화를 나눴다. 정 최고위원이 "형님, 둘이 한번 봅시다"라고 했지만 주 최고위원은 대답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급기야 한 칸 건너 앉아있던 문 대표 역시 일부러 자리를 옮겨앉으며 주 최고위원과 대화를 나눴지만, 주 최고위원은 결국 복귀 의사를 밝히지 않은 채 1시간만에 다시 여수로 발길을 돌렸다.

비노그룹을 중심으로는 문 대표가 재보선 패배에 책임을 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잦아들지 않고 있다.

전날 문 대표를 향해 "친노 좌장이냐 야당 대표냐 결단하라"고 직격탄을 날린 김한길 전 대표는 이날 본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서도 "계파정치의 틀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김 대표는 "내가 무슨 권한으로 기한까지 정하겠나"라면서도 "하여간 시간이 많지는 않다. 그렇지 않으면 총선·대선에서 우리가 이길 수 있겠나"라고 말했다.

김종현 전 사무부총장 등 전직 당직자들도 이날 국회에서 회견을 열어 "현 지도부의 총사퇴만이 국민의 신뢰를 받는 새정치연합을 지속시킬 수 있다"고 촉구했다.

당원들 사이에서는 이번 지도부로 더는 총선을 치를 수 없다는 의견도 계속 번지고 있다.

동교동계 한 인사는 "평당원들을 중심으로 임시 전당대회를 개최하자는 서명운 동 움직임까지 있다"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