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 당원들, 정청래 윤리심판 제소… 출당 요구까지 나와

입력 2015-05-12 16:51

‘공갈’ 발언으로 막말 논란을 일으킨 새정치민주연합 정청래 최고위원이 12일 더욱 궁지에 몰렸다. 전날 전남 여수까지 찾아가 주승용 최고위원에게 사과의 뜻을 밝혔지만 정 최고위원에 대한 출당 요구가 의원총회에서 공식 제기됐기 때문이다. 정 최고위원에 대한 ‘처리’가 당내 계파갈등 해결의 중요 변수로 부상하는 형국이다.

광주를 지역구로 둔 3선의 김동철 의원은 의총에서 “정 최고위원의 막말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우리 당의 체질과 문화, 의식을 뼛속까지 다 바꾼다는 의미에서 정 최고위원을 출당 조치하라”고 문 대표에게 요구했다. 김 의원은 정 최고위원에 대한 출당 조치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저를 비롯해 뜻이 있는 사람들이 함께 ‘결단’할 것”이라고도 했다.

김 의원은 의총 직후 언론 인터뷰에서 “정 최고위원은 지난해 안철수 전 공동대표를 겨냥해 ‘김대중 전 대통령은 자기 팔을 잘라 당을 살렸고, 안 대표는 남의 팔다리를 잘라 당을 죽인다’고 했다. 이제는 문 대표가 팔을 자를 때”라며 문 대표를 거듭 압박했다. 의총에서 언급한 ‘결단’과 관련해서는 “정 최고위원과 같이 당을 할 수 없다는 뜻”이라면서도 “(탈당은) 다음 문제”라고 말해 탈당과는 거리를 뒀다.

앞서 당원 수십여명은 당 윤리심판원에 정 최고위원을 제소했다. 새정치연합 평당원 10여명이 전날 공동서명한 징계요구서를 윤리심판원에 제출한 데 이어 전북 중심의 당원 67명도 추가로 징계요구서를 냈다. 이들은 징계요구서에 “정 의원의 발언은 최고위원으로서 도저히 할 수 없는 발언”이라며 징계조치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리심판원은 징계요구서가 접수된 이상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정 최고위원의 소명을 듣는 등 조사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강창일 윤리심판원장은 “원장으로서 징계 수위를 벌써 말할 수는 없다”면서도 “이번 파동이 당 전체를 흔들고 있어 신중하고 꼼꼼하게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징계 절차가 시작되면 징계 수위를 두고 당내 의견이 첨예하게 갈릴 수 있어 또 다른 갈등의 불씨가 될 수 있다.

정 최고위원은 말을 아꼈다. 여수 방문 이후 자신의 페이스북에 “앞으로도 기죽지 않고 최전방 공격수로서 소임을 다하겠다. 당내 문제보다는 대여투쟁에 더 열과 성을 다하겠다”며 자신감을 보였던 것과는 사뭇 달라진 태도다. 정 최고위원은 본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출당 요구에 대해서는) 할 말이 없다”고 했다. 그는 본회의장에서 나란히 앉았던 주 최고위원에게 “형님 한 번 봅시다”라며 회동을 제안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주 최고위원 측은 “아직 정해진 것은 아무 것도 없다”며 다소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정 최고위원의 징계 여부에 당 안팎의 관심이 쏠리면서 문재인 대표의 고민도 깊어졌다. 현직 최고위원을 출당시키거나 중징계한 전례가 없을 뿐 아니라 정 최고위원을 징계한다고 해도 ‘지도부 책임론’이 수그러든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