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대책비로 받는 4000만~5000만원 중 직책수당은 얼마나 되는지 명명백백하게 밝혀라”(sakk****)
“급여 성격의 대책비(직책수당)가 한달 4000만~5000만원이라면 수당을 포함한 본 급여는 얼마란 이야기인가? 이에 대한 세금은 제대로 냈을까?(cals***)
“국민 세금으로 비자금 만들었다는 소리? 월급 성격이라 문제될 게 없다는 논리가 나오고 있는데, 뭐가됐던 국민세금으로 비자금 만든 것은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min****)
홍준표 경남지사의 경선자금 1억2000만원 출처를 두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홍 지사는 SNS를 통해 연일 해명을 내놓고 있지만 네티즌들은 설전을 거듭하고 있다.
홍 지사는 1억2000만원 출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한 ‘국회 대책비’에 대한 예산 횡령 의혹과 관련해 12일 “급여 성격의 직책수당을 생활비로 쓴 것은 예산 횡령이라 말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홍 지사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국회의원이 급여를 받은 것을 집에 생활비로 썼다고 해서 예산횡령으로 말할 수 없 듯이 국회운영위원장의 급여 성격 돈 중 일부를 생활비로 쓴 것을 두고 예산 횡령 운운하는 것도 어불성설이다”고 말했다.
그는 “여당 원내대표는 국회운영위원장을 겸하고 있다. 원내대표로서 국회대책비가 나오고 상임위원장인 국회운영위원장으로서 급여 성격의 직책수당이 나온다”고 설명했다.
홍 지사는 “그 직책수당은 개인에게 지급되는 돈이다. 그 돈 중 일부를 집사람에게 생활비조로 지급했다는 것을 두고 예산횡령 운운하는 것은 어처구니 없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이 같은 해명에 네티즌 lesl****는 “직책 수당은 급여와 같은 돈인 건 사실이다. 하지만 직책수당은 반드시 명기를 해 공적인 돈과 분리를 하지 국회대책비 안에 직책수당 성격의 돈이 있다는 식의 불분명 하고 관습적인 사용은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일침했다.
9dra****는 “그것도 입출금이 투명한 통장거래를 하지 않고 왜 현금으로 대여금고에 넣다 뺐다 했는지(이해가 안된다)”라고 지적했다.
dlft****는 “횡령 운운하기 전에 국회대책비를 집 생활비로 쓰라고 국민들이 세금낸 것 아니거든요?”라고 했고 tjdg****는 “국회에 눈먼 돈이 그렇게 많은 줄 몰랐네”라고 했다.
반면 “직책수당은 대법원에서 통상임금으로 인정하고 있다. 알고 까라”(prou****)거나 “직무 활동비로 정액을 지급하는데, 그 돈은 남든 모자라든 그 돈 갖고 직무를 수행하라는 것. 모자라도 더 요구하지 않고 남아도 반환하지 않는다. 영수증도 요구되지 않는다. 홍 지사 말이 맞다”(gold****)는 등 옹호 의견도 적지 않았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관련기사 보기]
“국회에 눈 먼 돈이 그렇게 많은 줄 몰랐네”…홍 지사 1억2000만원 출처 해명 논란 계속
입력 2015-05-12 15:51 수정 2015-05-12 1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