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드루 쿠오모 뉴욕 주지사는 한인이 주도하는 뉴욕 네일살롱의 노동착취와 임금차별을 고발한 뉴욕타임스(NYT) 보도와 관련해 긴급대책을 지시했다고 NYT가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뉴욕 네일살롱의 업주와 직원 가운데 상당수를 차지하는 한인사회에 적잖은 파장이 예상된다.
쿠오모 주지사는 관계기관으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네일살롱 별로 조사를 실시하고, 매니큐어에 들어 있을 수도 있는 유해 화학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직원 보호를 위한 새로운 규정을 도입하기로 했다.
네일살롱 직원에 대해서는 마스크는 물론 장갑까지 착용, 고객과의 피부접촉이나 화학물질 처리에 따른 감염을 막도록 했다.
또 업주가 임금을 지급하지 않거나, 일자리를 제공하는 대가로 미리 돈을 받는 행위는 불법이라는 공고문을 한국어와 중국어, 스페인어 등 6개 언어로 만들어 업소에 게시하도록 했다.
쿠오모 주지사는 “뉴욕 주는 임금착취와 부당노동행위와 싸워온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며 “노동자들이 힘겹게 번 임금을 빼앗기고, 가장 기본적인 권리를 강탈당하는데 우리가 방관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뉴욕 주 일원에는 6000∼7000개의 네일살롱이 영업 중이며, 이중 한국인이 운영하는 곳은 3000여개로 파악되고 있다.
NYT는 11일에도 ‘완벽한 손톱 뒤에서 신음하는 네일살롱 노동자’라는 제목으로 뉴욕 주 일원의 네일살롱 관련 폭로성 기사를 실었다.
NYT는 지난 7일 1년여간의 취재를 토대로 한국인이 주도하는 미국 네일살롱의 노동착취와 차별 실태를 보도했다.
이 기사에는 네일살롱 직원이 하루 10∼12시간을 일하고, 보수는 최저임금 수준에 크게 못 미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신문은 한국인이 이 업계를 장악하고 있어 직원의 신분도 한국 출신이 가장 상위이며 이어 중국인, 히스패닉과 비아시아계 순으로 분류되는 등 이 업계에 ‘인종계급제도’가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NYT 보도에 대해 한인 네일살롱 업계에서는 “일부 업체의 문제점을 마치 한인업소 전체의 문제인양 잘못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뉴욕한인학부모협의회 등 일부 한인교포단체도 뉴욕타임스에 항의서한을 보내고 시위를 계획하는 등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이상호 뉴욕 주 네일협회장은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뉴욕타임스가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 업소는 27개가량 되는데 다른 나라 사람들이 운영하는 곳도 많다”면서 “한인네일협회는 해마다 2차례 정례회의를 열어 사용약품, 직원대우 문제 등에 대해 사전 교육과 지도를 해오고 있다”고 반박했다.
그는 “한국 네일업소 비율이 높다고 해서 다 (노동착취가) 있다고 보도한 것은 잘못”이라며 “한인들이 (잘못한 것으로) 일방적으로 보도한 만큼 이른 시일 내에 정정보도를 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네일숍 논란에 대해 뉴욕 총영사관 측은 “실태가 과장된 측면이 있어 보인다. 정확한 사정을 알아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미국 뉴욕주, 네일살롱 긴급대책 발표 - 한인 사회 술렁
입력 2015-05-12 08: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