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주, 네일살롱 노동착취 등 실태조사… 한인들 반발

입력 2015-05-12 10:24

미국 뉴욕 주(州)가 주내 네일살롱을 대상으로 노동착취·차별 여부 실태조사를 비롯한 긴급대책을 실시하기로 했다. 뉴욕 네일살롱의 업주와 직원 상당수가 한인이어서 한인 사회 전반적으로 큰 파장이 예상된다. 특히 네일살롱을 운영하거나 근무해 생계를 이어가는 한인이 많아서 경제적으로도 타격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뉴욕타임스가 한인이 주로 운영하는 네일살롱을 다루면서 이례적으로 한글 기사도 내보내는 등 한인을 겨냥한 게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된다. 한인들도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앤드루 쿠오모 뉴욕 주지사는 한국인이 주도하는 뉴욕 네일살롱의 노동착취와 임금차별을 고발한 일간 뉴욕타임스(NYT) 보도와 관련해 긴급대책을 지시했다고 NYT가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쿠오모 주지사는 관계기관으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네일살롱별로 조사를 실시하고, 매니큐어에 들어 있을 수도 있는 유해 화학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직원 보호를 위한 새로운 규정을 도입하기로 했다.

또 업주가 임금을 지급하지 않거나, 일자리를 제공하는 대가로 미리 돈을 받는 행위는 불법이라는 고지문을 한국어와 중국어, 스페인어 등 6개 언어로 만들어 업소에 게시하도록 했다.

네일살롱 직원에 대해서는 마스크는 물론 장갑까지 착용, 고객과의 피부접촉이나 화학물질 처리에 따른 감염을 막도록 했다.

쿠오모 주지사는 전날 성명을 내고 “뉴욕주는 임금착취와 부당노동행위와 싸워온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며 “오늘 새로 구성된 TF를 통해 이런 전통을 적극적으로 따르려는 것”이라고 밝혔다.

쿠오모 주지사는 “노동자들이 힘겹게 번 임금을 빼앗기고, 가장 기본적인 권리를 강탈당하는데 우리가 그냥 방관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뉴욕주 일원에는 6000∼7000개의 네일살롱이 영업 중이며, 이중 한국인이 운영하는 곳은 3000여개로 파악되고 있다.

이와 관련, 뉴욕타임스는 11일에도 ‘완벽한 손톱 뒤에서 신음하는 네일살롱 노동자'라는 제목으로 뉴욕주 일원의 네일살롱 관련 두 번째 기사를 싣고 이곳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가장 큰 문제는 다수가 최저임금에도 못미치는 낮은 임금을 받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네일살롱에서 사용되는 화장품 등 화학약품 가운데 일부가 암, 호흡기 질환 등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네일살롱에서 주로 사용되는 20개 화학약품 가운데 17개 정도가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보건당국의 지적도 있다고 소개했다.

한인 네일살롱 업계의 반발도 거세지고 있다. 일부 업체의 문제점을 마치 한인업소 전체의 문제인양 잘못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뉴욕한인학부모협의회 등 일부 한인교포단체도 뉴욕타임스에 항의서한을 보내고 시위를 계획하는 등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