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은 치매에 걸릴 경우 적극적인 치료 의사를 갖고 있지만 정작 치매를 일찍 발견할 수 있는 검진은 망설이고 있다.
국민 10명 중 7명은 치매 조기 진단 검사인 ‘양전자단층촬영’을 받지 않겠다고 답했다. 최대 120만원에 달하는 비싼 비용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됐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은 지난해 12월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이메일을 이용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88.3%(883명)는 치매 진단 시 질병의 진행을 늦추는 치료를 받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11일 밝혔다.
안정성과 치료 효과가 확실하지 않다는 점을 알고도 개발 중인 치료약을 복용하는 등 치매 임상시험에 참여하겠다고 밝힌 응답자도 60.6%(606명)나 됐다.
하지만 치매를 조기에 진단하기 위한 FDG-PET(불화디옥시포도당 양전자 단층촬영) 검사를 받겠느냐는 질문에는 68.8%(688명)가 검사를 받지 않겠다고 답했다. 이유로는 비용에 대한 부담(74.6%·593건)이 가장 많이 꼽혔다. 해당 검사는 평균 비용이 60만∼120만원(보건복지부 고시 70만원)으로 보험 비급여 대상이다.
적극적으로 치매를 치료하겠다는 뜻이 있어도, 비싼 검사 비용 때문에 조기에 진단받을 기회를 놓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다.
현재 이뤄지는 치매의 대증요법(치매의 진행 속도를 늦추고 증상을 완화하는 치료)은 물론이고 임상 시험 중인 치료제가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도 조기에 치매를 발견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으로 보고된다. 전문가들은 “치매 초기단계 진단에 FDG-PET 검사가 필요하지만 현재 보험급여가 적용되지 않아 어려움이 있다”면서 보험 급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국민 10명 중 7명 "최대 120만원 비용 때문에 조기 치매검진 망설여"
입력 2015-05-11 1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