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당내 친박(친박근혜)계 반발로 보류됐던 원외 부실 당협위원장 교체를 다시 추진하고 나섰다. 당내에선 또 다시 이 문제로 비박(비박근혜) 지도부와 친박 주류 간 계파 갈등이 촉발되지 않겠느냐는 우려가 제기됐다.
부실 당협위원장 교체는 내년 총선을 대비해 기존의 조직을 정비해야 한다는 김 대표의 의중이 반영돼 있다. 새누리당 조직강화특별위원회는 이달 중 전체회의를 열고 부실 당협위원장 교체와 현재 공석인 당협위원장에 대한 공모 문제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당 조직강화특위는 당초 지난 주 전체회의를 열고 이를 안건으로 올리려 했으나 공무원연금 개혁안이 무산되면서 일정을 조정했다.
김 대표는 4·29 재·보궐 선거 이후 주재한 주요당직자회의에서 “경쟁력 있는 후보를 중심으로 한 상향식 공천이야말로 이번 재보선 승리의 주요 요인”이라며 “이제부터 사심은 없고 전투력은 있는 사람들이 공천돼야 한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또 “(내년 총선에서) 서울과 수도권에서 이겨야 하는데 지금 전투력으로는 다 무너진다”면서 “사심 없이 고르고 골라 8개 부실 당협을 정했는데 최고위원회의에서 제동이 걸렸다”고도 했다.
교체 대상으로 선정된 당협위원장 상당수는 친박 측과 가까운 것으로 알려졌다. 당 최고위원회의에 지난 3월 보고된 당협위원장 교체 지역은 서울 동대문을, 인천 부평을, 경기 광명갑, 경기 파주갑, 충북 청주 흥덕갑, 충남 공주, 전남 장흥강진영암, 부산 사하을 등 8곳이다.
당 조강특위는 당무감사 결과 등을 토대로 교체 대상을 선정했다고 설명했지만 서청원 최고위원 등 친박 주류가 ‘정치적 살인’이라며 강력 반발했다. 친박 측에선 김 대표가 내년 총선 준비를 명분삼아 ‘친박 물갈이’에 나선 것 아니냐는 의심스런 눈길을 거두지 않고 있다.
조강특위는 10일 당내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고위원회의에 보고할 당무감사 보고서를 보완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또 교체 대상 당협위원장들을 일대일로 접촉해 설득을 할 예정이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김무성 대표 ‘부실당협 교체’ 재추진… 새누리 계파갈등 재점화하나
입력 2015-05-10 16:03 수정 2015-05-10 1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