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아프리카 라이베리아에서 에볼라가 종식됐다고 세계보건기구(WHO)가 9일(현지시간) 밝혔다. 1년여동안 라이베리아를 공포로 몰아놓었던 바이러스가 최근 한달여동안 발견되지 않은 것이다. 이같은 성과는 당초 올해 하반기쯤 에볼라 공포에서 벗어날 것이라는 전망보다 훨씬 빨리 나온 것이다.
WHO는 지난 3월 27일 마지막 발병자가 숨진 이후 에볼라 바이러스 잠복기의 두 배인 42일 동안 라이베리아에서 새로운 발병 사례가 없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서아프리카의 에볼라 피해 지역 가운데 에볼라 종식이 선언된 것은 라이베리아가 처음이다.
WHO는 “기념비적인 성취”라며 “1976년 에볼라가 처음으로 등장한 이후 라이베리아는 가장 많은 사망자를 냈고 가장 광범위하고 복잡한 발병을 겪었다”고 설명했다. 라이베리아에서는 재작년 12월 불거진 에볼라 창궐로 1만564명이 전염됐고 그 가운데 4716명이 숨졌다. 이는 사상 최대 규모로 기록됐다.
WHO는 서아프리카 전역에서 라이베리아 사망자를 포함해 총 1만1000여명이 숨진 것으로 집계하고 있다. 다른 피해국인 시에라리온, 기니 등지에서는 아직도 에볼라 바이러스가 돌고 있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
WHO "라이베리아서 에볼라 종식", 42일간 환자 없어
입력 2015-05-10 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