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원외 취약 지역구 당협위원장 교체 작업을 재착수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조직책 교체를 둘러싼 당내 계파간 갈등이 재점화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복수의 당 관계자에 따르면 김 대표는 4·29 재보선 직후 주재한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선거 직전 보류했던 부실당협 정비작업을 재추진하겠다는 의사를 내비쳤다.
김 대표는 이 자리에서 "경쟁력 있는 후보를 중심으로 한 상향식 공천이야말로 이번 재보선 승리의 주요 요인이었다"며 "이제부터는 사심은 없고 전투력은 있는 사람들이 공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는 후문이다.
그러면서 "(내년 총선에서) 서울과 수도권에서 승리해야 하는데 현재의 전투력을 가지고는 다 무너진다"며 "고르고 골라 사심 없이 8개 부실당협을 선정했는데 최고위원회의에서 제동이 걸렸다"며 교체 작업 재착수를 시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당 조직강화특위는 지난주 전체회의를 열어 부실당협 교체 안건을 상정해 논의할 예정이었으나 '공무원연금 개혁안 처리 불발'의 후폭풍으로 최고위원회의를 비롯한 당 일정이 줄줄이 취소되면서 회의 개최도 보류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관계자는 다만 "선거 직후 자칫 또다른 계파 갈등의 불씨가 될까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는 만큼 최고위원회의 상정 등 본격적인 추진에 앞서 조강특위 차원에서 실무적인 준비가 좀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조강특위는 일대일로 교체 대상 당협위원장들과 접촉해 설득에 나서는 한편 최고위원회의 보고 등을 위한 당무감사 보고서를 보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조강특위는 당무감사 결과를 토대로 지난 3월 ▲서울 동대문을 김형진 ▲인천 부평을 김연광 ▲경기 광명갑 정은숙 ▲경기 파주갑 박우천 ▲충북 청주 흥덕갑 최현호 ▲충남 공주 오정섭 ▲전남 장흥강진영암 전평진 ▲부산 사하을 안준태 등 8명의 당협위원장을 교체 대상으로 분류해 최고위원회의에 보고한 바 있다.
그러나 김 대표를 주축으로 한 비주류 지도부의 이같은 결정에 서청원 최고위원을 비롯한 친박계 의원들이 '정치적 살인'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김 대표는 재보선을 앞둔 정치적 상황에서 당내 화합을 고려해 선거 이후로 최종 결론을 미뤄왔다.
공교롭게도 교체대상에 오른 당협위원장 대부분이 황우여 전 대표 시절 홍문종 당시 사무총장이 임명한 인사들로 친박 주류 측과 가깝고 지난 전당대회에선 서 최고위원 편에서 활동했던 사람들이라는 게 당 안팎의 분석이다.
이 때문에 당직자들은 당무감사 결과 등을 토대로 활동이 전무하거나 이미 다른 자리로 이동한 인사들 위주로 교체대상을 최소화했다고 설명했지만, 주류인 친박측에서는 '친박 물갈이의 예고편'이라고 발끈하며 공개 반발했다.
이런 점으로 미뤄볼 때 부실 당협위원장 교체가 재추진될 경우 김 대표 측과 친박계 간 충돌은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與도 친박-비박 계파 갈등 재점화?” 부실당협 교체 재추진 논란
입력 2015-05-10 0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