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수년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 중인 ‘근대화 시설’들이 한·일 간의 또 다른 과거사 논쟁으로 번지는 양상이다. 이 시설들이 최근 유네스코 산하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에 의해 “세계문화유산으로 선정되기에 적합하다”는 사전 판정을 받으면서 양국간 과거사 갈등은 더 커지는 양상이다.
우리 정부는 일본이 ICOMOS에 등재를 신청한 일본 남부 규슈(九州)와 야마구치(山口)지역의 탄광 항만 제철소 등 23곳에 대해 “일제가 2차 세계대전 당시 우리 국민들을 강제 징용한 장소가 포함돼 있다”고 강력 반발하고 있다.
일본이 신청한 23곳은 1850~1910년대 ‘메이지 유신’시대 때 건설된 산업 및 교육시설들이다. 히시마(端島)탄광 등 일제하 조선인 강제징용 시설이 포함돼 있다. 이 섬은 군함을 닮았다 해서 일명 ‘군함도’라 불리는 ‘지옥도’라 불리는 곳으로, 한국인·중국인 광부들이 최저 1000m까지 해저갱도를 파고 들어가 하루 12시간씩 혹독한 노동을 강요당했다. 여기에다 니가타(新潟)현 사도(佐渡)지역 광산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곳에서도 한국인 147명이 강제노동을 당했다.
세계문화유산 등재는 등재를 희망하는 회원국이 신청 최소 1년 전에 대략적인 잠정목록을 세계유산센터에 제출해야 하며 잠정목록은 해당국이 일방적으로 등록할 수 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지난 5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 출석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위원국에 우리나라의 반대 입장을 피력하고 설득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우리 외교부가 일본 외무성에 이달 중으로 당국자 협상도 제안했다. 이 시설들이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더라도, 23곳 중 7곳에 대해선 ‘강제징용 사실이 있었다’는 점을 분명하게 밝히도록 요구한다는 방침이라는 것이다.
정부는 또 이 같은 우리 입장에 2차 대전 당시 피해국가들이 상당수 견해를 같이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정부 당국자는 7일 “침략 피해 경험이 있는 국가들의 경우 우리나라 입장에 대해 우호적일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반면 일본 정부는 “해당 산업시설들은 2차대전보다 훨씬 전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강제징용과 관계없다”는 입장이다. 일본 공영 NHK방송은 내각 관계자를 인용해 “(주변국의 반발은) 유산으로서의 가치와도 무관하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일본은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집권하기 훨씬 전부터 이 사업에 공을 들였다. 2006년 전문가 그룹이 결성됐고 2009년 일본 정부가 나서서 ‘잠정 목록’에 이 시설들을 올렸다. 그런데 우리 정부는 2012년에야 이를 파악했다. 국무총리실 산하 ‘대일 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자 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가 반대입장을 밝히고 관련 사료를 공개했지만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그 사이 일본은 3000페이지가 넘는 방대한 보고서를 IMOCOS에 제출했고, IMOCOS는 지난해 10월 실사를 거쳐 최근 적합 판정을 내렸다.
아직 IMOCOS의 최종 결정까지는 시한이 남아있다. 6월 28일부터 7월 8일 사이에 각 국이 신청한 세계문화유산 후보지들을 순차적으로 회원국 전체 투표에 붙여서 표결에 따라 선정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IMOCOS가 이미 내린 예비판정이 전체 회원국 투표에서 번복된 전례는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또 다른 과거사 논쟁 급부상… 일본 유네스코유산 등재 문제
입력 2015-05-07 1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