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석선배’ ‘빨대족’ ‘이케아세대’…. 최근 채용 시장에서 새롭게 나타난 유행어들이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이 ‘2015년 채용 시장 신조어’를 7일 발표했다. 취업준비생들의 어려운 현실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는 신조어들의 뜻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화석선배는 극심한 취업난으로 취업 전까지 학생 신분을 유지하기 위해 졸업을 미루는 ‘NG(No Graduation)족’이 늘면서 학교를 오래 다니고 있는 고학번 선배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새내기들 입장에서 고학번들이 오래된 조상처럼 느껴진다는 의미로, ‘삼엽충’ ‘시조새’ ‘고려청자’라고도 불린다. 빨대족은 서른이 넘어서도 취업이 안돼 부모의 노후 자금까지 자기 돈처럼 사용하는 자녀를 비꼬아 부르는 말이다.
이케아(IKEA)세대는 뛰어난 스펙을 갖췄지만 낮은 급여와 고용 불안에 시달리는 젊은 세대들을 실용적이고 세련됐지만 저렴한 가격의 가구 브랜드 이케아(IKEA)에 빗대어 표현한 말이다. 요즘 청년들은 각종 자격증, 어학연수, 인턴 경험 등을 보유하고 있지만 ‘열정’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낮은 급여를 받으면서 일하는 경우가 많다.
‘3포세대’에서 ‘5포세대’를 거쳐 ‘7포세대’까지 나왔다. 연애와 결혼, 출산을 포기하는 것도 모자라 내 집 마련, 인간관계까지 포기하는 것이 5포세대다. 최근에는 취업과 희망까지 포기한 7포세대까지 등장했다.
‘달관세대’란 말도 있다. 일본의 ‘사토리 세대’에서 시작된 말로 욕심 없이 현재에 만족하며 무욕적인 삶을 살아가는 세대를 지칭한다. 높은 청년 실업률로 인해 이미 좌절한 청년들이 희망도 의욕도 없이 무기력해진 모습을 반영한 것이다.
‘취업깡패’도 요즘 뜨는 신조어로, 다른 과들보다 취업이 잘 되는 과를 일컫는 말이다. 예전에는 경영학과가 취업시장에서 각광받았다면 몇 해 전부터 공대생들의 힘이 강해지고 있다. 주요 대기업이 이공계 출신 채용 비율을 높이거나, 우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공대생 중에서도 일명 전화기(전자, 화공, 기계) 전공자들이 대세로 꼽힌다.
김혜림 선임기자 mskim@kmib.co.kr
취업난 반영한 신조어들
입력 2015-05-07 0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