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車 보조번호판이 뭐길래… 정품 품귀에 95%가 ‘짝퉁’

입력 2015-05-06 18:00

자동차 ‘보조번호판’이라는 게 있다. 번호판 테두리를 감싸는 일종의 ‘번호판 케이스’다. 2000년대 초부터 일부 외제차가 보조번호판을 장착한 채 팔리면서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이후 영세업체들이 국산차에 달 수 있는 보조번호판을 생산해 판매하기 시작했다. 시장이 커지자 자동차 제조사도 ‘공식 보조번호판 제조업체'를 선정하고 뛰어들었다. 보조번호판은 정품이 1만원, 가품이 3000원 정도다. 현대·기아자동차 등 제조사 홀로그램 스티커가 붙어 있느냐 아니냐에 따라 3배 이상 가격 차이가 난다.

이렇다 보니 시중 유통량의 95%가 가품으로 추산된다. 시장이 과열되자 편법·탈법이 등장하고 있다. 보조번호판을 불법 제작해 유통시킨 업체들이 경찰에 무더기로 적발됐다.

서울 노원경찰서는 무단으로 현대·기아차 상표를 도용해 보조번호판을 만들고 판매한 혐의(상표법 위반)로 유모(53)씨 등 20여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6일 밝혔다. 이들은 가품 보조번호판 하단에 현대·기아차 로고와 브랜드를 새겨 넣은 혐의를 받고 있다.

유씨는 경찰에서 “합법적으로 보조번호판을 팔고 싶어도 현대·기아차 영업사원조차 가품을 찾다 보니 불법을 저지르게 됐다”고 진술했다. 일반적으로 소비자가 차를 구입할 때 임시번호판도 일괄적으로 사는데 이때 영업사원들이 가품 보조번호판을 팔아 차액을 챙긴다는 것이다.

경찰 관계자는 “일부 영업사원이 돈을 남기려고 가품을 판매한 건 사실”이라며 “사정이 그래도 영세업자들이 상표권을 침해한 건 확실한 불법행위”라고 말했다. 경찰은 지난해 12월 S업체 등 불법 보조번호판 제작업체 3곳을 단속한 이후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황인호 고승혁 기자 inhovat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