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정부기금 방만운용 TF, 현대증권 수사 의뢰

입력 2015-05-06 16:17

새누리당 정부기금 방만운용점검 태스크포스(TF)는 6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 상 배임 등 혐의로 현대증권 전·현직 임직원을 검찰에 수사의뢰했다.

TF는 “현대증권 전·현직 임직원들이 2009~2014년 우정사업본부와 복권기금 등 정부기금 수십조원을 랩어카운트(증권사에서 운용하는 종합자산관리 방식의 상품)와 신탁 형태로 맡아 운용하면서 자신들이 관리하는 고객들의 신탁재산 상호간의 거래를 통해 5년간 57조2000억원 규모의 불법 자전거래를 했다”고 밝혔다. 자전거래는 한 증권사가 고객들로부터 한 종류 주식이나 상품을 같은 수량으로 동시에 매수·매도하는 매매를 뜻한다.

현대증권은 기금계좌에서 기업어음(CP)과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을 사들인 뒤 이를 다른 고객계좌로 넘기면서 시장 가격보다 싼 장부가로 매도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TF는 현대증권이 랩과 신탁재산의 경우 집합투자재산과 달리 시가 거래에 대한 의무 조항이 없고, 이상거래 적발시스템이 마련돼 있지 않은 점을 악용했다고 지적했다.

앞서 금감원은 지난해 11월 현대증권의 정부기금 부당운용 의혹이 제기되자 정부기금을 유치한 증권사와 자산운용사를 대상으로 종합검사에 나섰고 지난 3월 그 결과를 당 TF에 보고했다.

TF 간사인 김용남 새누리당 의원은 “현대증권의 불법 자전거래 규모 및 비정상적인 거래내역은 유례없는 수준인 데다 명백한 불법 행위”라며 “검찰 수사를 통해 불법 행위를 명확하게 밝히고, 국회에서 향후 이러한 증권업계의 불법적인 거래 관행을 근절할 제도적 개선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